교단칼럼- 교사들은 교실에서 어떤 방법으로 수업을 하는가?

@무등일보 무등일보 입력 2019.01.22. 00:00

이운규 광주 신용중 교사

학년말이 되어, 학부모들은 자녀들의 학교 생활기록부(혹은 성적표)를 받았을 것이다. 그리고 자녀들의 지난 한 해 학교생활에 대한 일련의 이미지들을 떠올렸을 것이다. 학부모들이 생각하는 학생들의 학교생활 모습은 어떤 것일까? 무엇보다 교실 수업의 이미지는 어떤 것일까? 달라진 요즘의 수업 방법에 대한 학부모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교실에서 활용되는 몇 가지 수업 방법을 정리해 보겠다.

아마 학부모들이 가장 많이 떠올리는 수업 방법은 강의식 방법일 것이다. 자신들이 학교에 다니던 시절에 주로 이런 방법으로 수업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즘 학교 교실에서 이 수업 방법은 인기가 없다. 교육 효과가 가장 떨어지는 방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어떤 교사가 훌륭한 언변과 열정으로 학생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는 강의를 하였더라도, 대부분 그 감동은 수업이 끝나는 순간부터 사라지고, 조금 더 세월이 지나면 무엇을 들었는지조차 기억하지 못한다! 이것이 강의법을 꺼리는 교사들의 생각이다.

강의법과 대비되는 교수학습방법은 토론법이다. 교사가 말을 많이 하는 것보다 학생들이 더 많이 말을 할 때 그 교육은 비로소 효과가 있으며, 그런 점에서 소수의 사람들이 모여 실제 상황을 놓고 토론하는 방법이 가장 좋다! 이것이 요즘 생각의 추세이다. 토론법은 기본적으로 교사의 가르침 활동이 아니라 학생의 학습(배움) 활동에 중심을 두는 수업 방법이다. 이는 교사의 가르침이 반드시 학생의 배움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많이 가르쳤으니 많이 배웠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교사들의 착각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하였다.

토론식 방법 중에 오늘날 한국의 교실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형태는 '학생 모둠 토론'이다. 보통 4명 정도로 구성된 모둠의 학생들이 교사가 제시한 주제에 대해 토론하여 그 결과를 발표하는 식이다. 학생은 교사에게보다 동료 학생에게 더 잘 배울 수 있다거나, 동료 학생들에게 자신이 아는 바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을 가장 깊이 배울 수 있다는 말들은 이 수업방법을 뒷받침하는 주장들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수업에서 교사의 이끄는 역할이 무시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비판받기도 한다. 교사의 인도가 없는 학생들끼리의 토론은 많은 경우에 배움 없는 공허한 시간 낭비가 되기 쉽기 때문이다.

강의식 방법과 대별되는 토론식 방법에는 학생 상호간의 모둠 토론 방법 외에 교사와 학생 사이의 문답식 방법도 있다. 이 방법은 "교수-학습지도법 중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지닌 것 중의 하나이며, 서양 고대의 소크라테스법이나 우리나라 서당식 방법 등은 모두 이에 해당되는 것이다. 문답법의 특징은 교사의 직접적인 질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자극,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학습효과를 높이는 데 있다. 따라서 강의법을 중심으로 하는 주입식 교수에서 기대하기 힘든 학생들의 자발적 사고 경험이 가능하다." (교육학 용어 사전) 그런데 이 방법에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소크라테스나 공자의 문답법은 교사와 학생 간의 일대 일 토론을 본모습으로 하는데, 오늘날 우리 교실에서 그것이 가능한가 하는 문제이다. 문답법을 수업 방법으로 활용하기에 한국 학교의 학급당 학생 수는 여전히 많다.

이 외에도 요즘 교사들은 여러 수업 방법과 기법들을 활용하여 교실에서 수업하고 있다. 학생 두 명이 짝을 지어 서로 질문하고 토론하는 '하브루타' 학습방법도 있고, 강의는 집에서 동영상으로 듣고 학교 수업시간에는 교사와 문답을 하거나 동료 학생들과 토론을 하는 '거꾸로 교실' 학습방법도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요즘 유행인 '프로젝트' 학습방법도 있다. 중학교 1학년의 '자유학기' 동안에 학생들이 선택한 주제에 대해 학생들끼리 팀을 이루어 탐구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는 식이다.

요는, 교사가 칠판에 분필로 필기를 하면서 혼자서 설명하고 학생들은 이를 받아 적으면서 듣는, 일제식 수업 풍경이 이제는 학교에서 낯선 모습이 되었다는 점이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