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인의 창- 우리 먹거리, 언제쯤 안심하고 먹을 수 있나요

@무등일보 무등일보 입력 2018.11.27. 00:00

강혜정 전남대 농업경제학과 교수

최근 누구나 알 만한 대기업 식품회사가 생산한 햄에서 세균이 검출돼 식품 안전성 관리의 중요성이 다시금 도마 위에 올랐다. 식약처가 전량 회수조치를 내린 바 있지만 매일 같이 식탁 위에 오르는 식품에 대한 불신도 여전하다. 비단 가공식품뿐만 아니라 신선농산물에 대한 불신도 심각하다.

지난해 여름 대한민국은 살충제 계란 파동으로 떠들썩했다. 대표 국민 먹거리인 계란에서 피프로닐 살충제가 검출돼자 한동안 아예 시장에서 모습을 감췄고 판매와 발주도 중단됐다. 특히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친환경인증 계란에서도 고수치의 피프로닐이 검출되면서 소비자들의 충격은 더했다.

우리나라 국민소득 수준이 증가하고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품 안전성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다.

간간히 언론매체를 통해 보도되는 식품사고 외에 실제로 벌어지는 일들은 얼마나 더 많을지 하는 불안감으로 믿고 안심할 수 있는 농산물에 대한 관심과 수요도 높아지는 추세다. 하지만 그 전에 믿을 수 있는 먹거리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관리시스템과 기존과 다른 새로운 사육문화가 자리잡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살충제 계란 파동 뿐만 아니라 매년 발생하는 AI, 구제역 등 가축질병의 주요 원인으로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한 집단사육체제가 지목된다. 적은 면적에 많은 가축을 집단 사육해 각종 질병의 온상이 되고 감염전파 속도도 걷잡을 수 없어 그 피해가 매우 크다.

살충제 계란 당시에도 정부 대책은 계란 생산체계를 집단사육형에서 동물복지형으로 바꾸는 개편안이 포함됐다. 또 소고기와 돼지고기에 시행되는 축산물 이력제를 지난해 하반기 시범사업을 거쳐 내년 닭고기와 계란에도 적용하기로 했다.

사육농장에 CCTV를 설치하거나 밀집사육방식 대신 넉넉한 공간에서 사육하는 방식으로 바꿔나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간 친환경 인증을 받은 농가를 재조사해 부실 농가는 인증을 취소하는 등 퇴출할 계획이라고도 한다. 늘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다.

친환경 농산물 인증은 바로 우리 농산물을 안심하고 소비하라는 신뢰의 증거다. 농산물이 어떻게 생산되는지 소비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이 어렵기에 인증기관이 보증하는 인증제를 신뢰하고 농산물을 구매한다.

하지만 인증 자체에 문제가 있다면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불신만 가중될 뿐이다. 불신으로 인한 농산물 소비 감소는 결국 선량한 친환경농업 실천농가들에 큰 피해로 돌아갈 따름이다.실제로 농식품소비행태조사에 따르면 건강관심도가 높은 소비자일지라도 친환경농식품을 구입하지 않는 비율이 4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무리 건강과 친환경농식품에 관심 있는 소비자라 할지라도 친환경농식품을 외면하는 것이다. 이같은 인식과 구매의 격차는 친환경농산물 인증에 대한 불신이 큰 원인일 것이다.

이제 친환경농산물 인증도 달라져야 한다.우리 농산물을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신뢰 회복에 나서야 할 시점이다. 특히 민간 인증기관의 전문성과 신뢰를 어떤 방법으로 담보하고 부실 인증을 어떻게 차단해 시장 건전성을 높일 것인지 고민과 해법을 위해 관계 기관은 머리를 맞대야 한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