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영화관 살리기 지역의 힘으로

지역 영화관 살리기,'지역의 힘으로' <8> 강릉의 힘 독립예술극장 신영

입력 2017.08.23. 00:00 이윤주 기자
지역민과 지자체가 일으켜 세운 독립예술극장
독립예술극장 신영 로비는 매표소이자 매점이자 상영시간을 기다리는 휴게실까지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된다.

20여년 일궈온 지역 영화의 텃밭 강릉시네마테크

2012년 전국 최초 민간독립예술영화전용관 오픈

영진위 사업 중단 재정난 가중…지난해 휴관 결정

지역 영화인·시민·지자체 힘모아 재개관 이끌어

강릉은 '독립영화'의 도시다. 올해로 19번째 열린 정동진독립영화제가 있다. 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민간 독립예술영화전용관이 세워진 곳이다. 그리고 기초자치단체 중 전국 최초로 독립예술영화전용관 지원에 나선 것도 강릉시다. 그 뒤안길에는 늘 지역의 영화문화를 이끌었던 강릉시네마테크와 그들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준 후원회원과 시민들 그리고 지자체의 지원이 자리하고 있다. 거창하지 않지만 묵묵히 외길을 걸으며 또다른 역사를 만들어가는 강릉 독립예술극장 신영의 이야기다.

◆강릉시민들의 벗 '신영극장'

지난 19일 오후 강릉 독립예술극장 신영. 입구부터 왁자지껄하다.

최근 개봉한 다큐 '공범자들'을 보고 나서는 관객들이 나름의 평을 쏟아낸다.

꽤 많은 인파가 나간 후에도 극장 로비는 다음 상영작인 '파리로 가는 길'을 보기 위한 관객들로 북적인다.

인상적인 장면은 머리 희끗한 실버세대들의 행렬이었다.

친구들과 삼삼오오 짝을 지어 극장으로 들어서는 관객들을 살펴보자니 유난히 중장년층들이 많았다.

로비와 매점을 겸한 매표소의 풍경도 눈길을 끌었다.

티켓을 사는 관객들과 판매하는 직원들 사이의 대화에서 친숙함이 절로 느껴졌다.

과장되지 않은 친절함과 때로는 누군가의 안부를 묻기도 하는 모습이 마치 동네사랑방 같은 풍경이었다.

줄지어 늘어선 창구에서 끊임없이 이어지는 순번호출소리와 정형화된 안내, 각종 패키지로 묶여 있는 팝콘이 있는 화려한 멀티플렉스는 아니지만 대신 아담한 공간에서 영화에 오롯이 집중할 수 있는 휴식같은 공간이었다.

강릉 영화관 역사를 품고 있는 독립예술극장 신영과의 첫 만남이었다.

◆옛 공간에서 빚어낸 새로운 극장이야기

독립예술극장 신영에는 많은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이곳은 강릉의 대표 극장이자 산 역사인 신영극장이 있었던 곳이다.

1960년대 초반부터 시민 단골 약속장소이자 지역 문화예술의 상징성을 가진 곳이었으나 복합 상영관이 들어오면서 2009년 결국 폐관됐다.

한동안 문을 닫았던 이곳에 다시 영화가 상영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12년 5월이다.

오랫동안 활동해 온 강릉시네마테크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민간 독립예술영화 전용관을 이곳에 개관한 것이다.

시네마테크는 고전영화나 희귀한 영화 관련 자료를 공유하는 문화조직으로 국내에서는 1990년대 가장 붐을 이루었으며 강릉시네마테크도 1996년 활동을 시작했다.

대도시에서도 힘든 독립예술영화전용관이 작은 지방도시에 문을 연 것도 의미가 있었지만 무엇보다 상업자본이 아닌 민간의 노력으로 극장 개관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당시 극장 개관 기금 모금 프로젝트 '나는 주인이다'를 진행하며 후원회원을 모집해 그들의 이름을 좌석 뒷편에 새겨넣었다.

200석 규모로 문을 연 극장에서는 연간 70여편의 독립·예술영화가 상영됐으며 연간 1만5천여명의 관객들이 다녀갔다.

하지만 '블랙리스트 논란' 끝에 영진위 예술영화관 지원사업이 중단되고 건물 임대 계약을 연장하지 못할 정도로 재정 상황이 열악해지면서 지난해 2월 말 결국 재개관을 전제로 임시휴관에 들어갔다.

◆재개관을 위한 노력

인구 20만명의 작은 도시이고 이미 복합상영관도 들어서 있지만 지역민들은 독립예술극장 신영의 휴관에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했다.

강릉시네마테크도 '재개관'을 전제로 한 만큼 다시 시민들과 만나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다른 장소를 물색하고 강릉시와도 대화를 이어갔다. 휴관중에도 500여명의 회원들은 지속적인 후원으로 독립예술극장신영의 재개관을 기다렸다.

그러던 중 강릉시가 기초자치단체로는 국내 최초로 예술영화전용관 지원을 결정하며 재개관은 탄력을 받게 된다.

연간 5천만원을 독립예술극장 신영에 임대료와 영사시설 비용으로 지원키로 한 것이다.

강릉시가 복합상영관에서 보기 어려운 영화들을 보다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며 시민들에게 문화다양성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취지에 공감한 것이다. 굳이 영화관 지원을 위한 별도의 근거조례를 만들지 않고 기존 강릉시 문화예술진흥조례를 포괄적으로 해석해 내린 결정이었다.

이에 힘입어 독립예술극장 신영은 휴관한지 13개월만인 올 3월 마침내 다시 문을 열었다.

20여년 동안 강릉 영화의 다양성을 이끌어온 강릉시네마테크의 활동에 시민들의 응원과 강릉시의 지원이 버무려지며 얻어낸 의미있는 결실이다.

특히 올해로 19년째 이어온 정동진독립영화제와의 연결고리도 영향을 미쳤다. 정동진독립영화제는 국내 대표적인 독립영화제이자 강릉의 여름 축제 중 하나로 이달 초 정동진초등학교에서 열린 올해 영화제에는 6천여명이 다녀갔다. 강릉시는 이참에 '독립영화'를 도시브랜드로 육성시키고자하는 장기적인 계획도 추진중이다.

박광수 강릉시네마테크 사무국장은 "시민들의 바람에 강릉시가 기초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민간 독립예술영화전용관 지원이라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화답을 했다"며 "이러한 결정들이 퇴색되지 않게 지금까지처럼 늘 지역 영화다양성을 위해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윤주기자 storyoard@hanmail.net

서충섭기자 zorba85@naver.com

#그림1중앙#

박광수 강릉시네마테크 사무국장

"20여년 이어온 활동과 시민들의 응원 큰 힘"

박광수 강릉시네마테크 사무국장은 몸이 열개라도 모자랄 듯 싶다.

영화가 시작되고 끝날때면 늘 영사실을 오가야한다.

그렇게 잠시 안보이나 싶으면 어느새 한 손에 빗자루와 쓰레받이를 들고 로비 곳곳을 청소하며 극장을 오가는 관객들에게 연신 인사를 건넨다. 또 관객들이 몰리는 시간이면 매표소와 매점을 겸하는 창구에서 티켓을 판매하고 커피를 내리느라 분주하다. 친절한 설명도 빠지지 않는다. 영화가 시작된 후에도 헐레벌떡 달려오는 관객들까지 모두 들여보낸 후 잠시 바깥에서 담배를 한 대 피운 후에야 겨우 한숨에 돌리며 자리에 앉는다.

이 순간 박 사무국장이 잠깐 짬을 내 인터뷰에 응했다. "독립예술극장 신영은 반드시 재개관이 됐을 겁니다. 그런데 강릉시의 지원으로 재개관이 훨씬 앞당겨졌습니다"

박 사무국장의 어조는 단단했다.

그는 "법적으로 극장은 수익사업을 하는 공간인데 강릉시가 기초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독립예술극장 지원을 결정한 것은 의미가 크다"며 "법적인 부분을 떠나 시민들이 복합상영관에서 볼 수 없는 영화를 상영하는 문화다양성의 원칙에 근거한 공공성을 확보하고 있는 공간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박 사무국장은 또 20여년을 이어온 강릉시네마테크의 활동과 시민들의 응원도 큰 힘이 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초 극장이 없어진다고 하니 시민들이 무척이나 아쉬워했다"며 "시민들의 바람에 강릉시가 가장 좋은 방법으로 화답을 했고 그 바탕에는 20여년 동안 지속돼온 강릉시네마테크의 활동들이 녹아들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사무국장은 지난 2012년 독립예술극장 신영의 개관과 지난해 휴관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던 영화진흥위원회의 역할에 대해서는 강경한 어조로 문제점을 지적했다.

박 사무국장은 "영진위가 출발할 당시에는 세계적으로 모범적이고 선진적인 기관으로 외국에서도 벤치마킹 사례가 많았었다"며 "17년이 흐른 지금은 산업쪽에만 치우쳐 정작 자신들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윤주기자 storyboard@hanmail.net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 받았습니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1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