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청년들, 학업·일 찾아 수도권으로··· 극복 방안은?

입력 2021.04.07. 17:15 주현정 기자
전체 인구 대비 靑 비율 하락세
수도권 이동 多… 연 2만5천명
부채 늘고 주거환경 등도 열악
오늘 市-17개大 위기대응 협약
뉴시스DB

학업과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는 광주 청년들이 갈수록 늘고 있는 반면 이들의 삶의 질 지표는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내 교육 환경과 산업 구조 개선으로 '청년이 머무는 도시' 조성에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이다.

7일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 인구는 145만여명으로 이 중 청년(만 19세~39세)은 28.6%(41만4천여명) 수준이다. 2016년 29.8%(146만9천명 중 43만7천800여명)에 달했던 전체 인구 대비 청년 인구는 5년만에 1.3% 줄어들었다.

국가통계포털 인구이동지도와 권역별 순이동자수 추이.

전국 권역별 순이동자수 추이는 더 참혹하다. 2010년 9천명 수준이었던 호남권 이동자는 2019년 2만5천명으로 10년만에 무려 177% 증가했다. 반면 같은해 수도권에는 8만3천명, 중부권은 1만2천명이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에서 타지역으로 이동한 인구 대부분이 수도권 등으로 흡수됐다는 뜻이다. 대학 진학 또는 취업을 목표로 거주지를 서울·경기로 옮긴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통계상 청년의 삶은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다.

실제 청년 학자금 체납규모(국세통계)는 2019년 2만7천명·322억원, 지난해 3만5천명·418억 수준이었다.

같은 기간 연령대별 부채 증감률(가계금융복지조사)도 30대 10.2%, 40·50대 각각 5.7%였던 반면 30세 미만 청년 층에서는 전년 대비 23.4%가 늘어났다.

청년가구유형 변화상(경제사회인문연구회) 역시 다르지 않았다. 최근 10년 간 청년단독가구는 77만7천개 증가한 반면 최저주거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주택에 거주하는 청년비율(주거실태조사)은 100명 중 11명(11.3%)으로 나타났다.

지역 청년 인구유출 문제가 심화되자 광주시는 극복 방안으로 '대학발전협력단' 카드를 꺼내들었다.

지역에 주소지를 둔 대학(광주신학대 제외)과 위기 극복을 위한 협업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오는 8일 오후 시청 3층 중회의실에서 시의회, 시교육청, 17개 대학 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대학 위기대응 및 대학발전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각 기관 등에서 파견된 인력들로 구성될 협력단에서는 인공지능, 헬스케어, 자동차, 에너지, 문화콘텐츠 등 광주시가 주력하고 있는 미래산업 관련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특성화 등 다양한 협력과제를 발굴한다.

주현정기자 doit85@srb.co.kr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