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이 지진에 대한 대비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조사돼 대책이 시급하다. 광주도 5곳 중 4곳이 내진설계가 미비한 것으로 드러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건축물 내진설계 현황에 따르면 올 6월말 기준 전남 건축물의 내진율은 10.6%로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광주는 평균보다 다소 높은 18.6%로 나타났다.
전국 건축물의 내진율은 16.4%고, 공공건축물과 민간건축물의 내진율은 각각 16.5%와 10.4%로 민간의 위험성이 더 큰 것으로 드러났다.
광역단위 중 경기(25.4%)가 가장 높고 세종·울산·인천·서울·대전이 20%대를 넘었다. 경북(11.7%)이 전남에 이어 꼴찌에서 두번째를 기록하고 경남12.4%, 부산 12.2%로 경상권이 하위를 맴돌았다.
공공건축물 내진율은 세종(38.6%), 서울(27.2%), 광주(27.1%), 경기(27%)순이고 전남(16.5%), 부산(17.9%), 충남(19%), 전북(19.3%)이 하위를 맴돌았다. 민간건축물은 경기(25.4%)를 비롯해 세종·울산·인천이 20%대를 넘었고 하위권은 전남(10.4%)·경북(11.5%)·부산(12.1%)·경남(12.2%) 순이다.
현행 내진설계 기준을 준수할 의무가 없는 기존 건축물이 내진성능 확보 대상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내진확보율의 문제로 지적된다.
지역의 불안한 내진율에 우려를 표한다.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도 규모 5.0 이상의 대규모 지진이 다수 벌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 지역민 안전을 위해 지자체의 보다 실효적인 건축물 내진성능 확보 정책이 뒤따라야할 것으로 지적된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