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문화공연, 펍 등 다양한 즐길거리

'펀 도시(Fun-City) 광주'를 실현하고 국내·외 방문객에게 즐거움을 제공하기 위한 지역의 대표 축제 '2022 Beer Fest Gwangju'가 8월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광주 맥주축제는 8월 31일부터 9월 5일까지 6일간 김대중컨벤션센터 야외광장에서 진행된다. '도심 속 바캉스, 걱정을 비어브러'라는 주제로 오후 6시부터 밤 11시까지 코로나19로 지친 시민들에게 다양한 문화 공연과 먹거리, 즐길거리가 제공 될 예정이다.
축제 기간 동안 ▲맥주 연못, 비치 펍 등 이색 체험행사 ▲K-POP 가수, DJ 공연 ▲댄스, EDM 파티 등 매일 다채로운 이벤트가 펼쳐지며, 광주 대표 먹거리 7미 중 4미(주먹밥, 상추튀김, 육전, 떡갈비)를 판매하는 음식 부스와 푸드트럭 등이 참여한다.

특히, 이번 축제에서는 'VIP존(글램핑존) 일일 이용권' 선판매(매일 30석)를 통해 특별한 공간을 제공하며, 한정판으로 제작되는 웰컴 키트도 함께 증정할 예정이다.
총 6일간 펼쳐지는 이번 축제는 지역 소상공인이 참여하는 플리마켓, 유명 유튜버와 함께하는 광주 7미 음식 소개, 여행 크리에이터가 소개하는 광주예술여행, 브루마스터와 함께하는 하우스맥주 만들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방문객들을 즐겁게 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포토존 이벤트, SNS 팔로우 이벤트, 광주사랑 경품 이벤트 등 다양한 경품 증정 기회가 마련되어 있으며, 추첨을 통해 특별 제작된 굿즈도 제공한다.
김상묵 김대중컨벤션센터 사장은 "코로나 팬데믹이 지속되면서 2년 넘게 개최하지 못했던 맥주 축제를 올해 다시 개최하게 되어 기쁘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한 여름밤의 도심 속 특별한 바캉스를 즐길 수 있으며, 동 기간 개최되는 '세계조경가대회(IFLA)'와 스타트업 투자/전시/상담회인 'SPLASH'의 국내·외 참가자들에게도 광주를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시민 여러분의 많은 성원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주현정기자 doit85@mdilbo.com
-
광주 자원순환가게 확산·지속가능성 핵심은? 지난 22일 광주시의회에서 광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주최로 '제 2차 자원순환 포럼'이 진행된 후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협의회 제공 쓰레기 100% 재활용(RE100)을 목표로 광주 내 마을 곳곳에 자리잡은 '자원순환가게'의 지속성을 담보하고 확산시키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광주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이하 협의회)가 광주시, 광주시의회, 광주녹색환경지원센터, 광주자원순환협의체와 공동으로 지난 22일 광주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실에서 개최한 '제 2차 자원순환 포럼-자원순환가게 확산과 개선 방안 모색'에서는 자원순환가게의 방향성과 구체적 방법이 논의됐다.자원순환가게는 마을 내 거점공간에서 정해진 시간에 10%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이 수거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설로, 자원순환해설사가 시민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분리배출을 교육하는 공간 역할도 하고 있다.발제를 맡은 김현정 경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자원순환가게 자체를 단순히 확산하기보다는 지역 시민들의 자원순환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자원순환가게의 확산을 위해서 가장 고려해야할 점은 지속가능성이다"며 "자원순환가게 공간 확보와 동시에 지역 기업과 지자체가 협업하는 자원순환경제사회 구조를 만들기 위한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최낙선 광주자원순환협의체 위원장은 주민참여예산제나 강기정 광주시장 공약으로 논의되고 있는 시민참여수당과 연계할 것을 주장했다. 특히 자원순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광주시가 자원순환가게와 지역기업과의 협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이은애 롯데케미칼 수석은 플라스틱 규제에 관련한 국외 동향에 대해 언급하며 "앞으로 펼쳐질 플라스틱 규제들에 대해 지자체에서 발 빠르게 대응을 위한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며 "광주에서 시민들의 관심도가 높고 활발한 활동들이 펼쳐지는 만큼 자원순환가게를 통한 지역 기반의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임은채 광주녹색환경지원센터 부장은 민관산학의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자원순환경제 이행을 위해서는 촘촘한 제도와 논의가 필요하고, 그 하나의 주축으로서 작용하는 시민들의 실천의 지속성을 위해 행정적 지원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최지현 광주시 환경복지위원회 부위원장은 "자원순환은 누구보다 시민들이 관심을 갖고 있으며 가장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환경 의제다"며 "하루 속히 제도와 규제들이 정착되고 다양한 이해당사자들 간의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서 우리 광주의 자원순환가게가 확산되고 정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한편, 협의회는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공동으로 월 1회 '자원순환 포럼'을 열고 지역의 여러 자원순환 의제들을 발굴하고 순환경제사회구축을 위한 우리 지역의 적용 방안 등을 찾아갈 예정이다.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광주 남구 공무원, 야근 중 음주 '논란'
- · 광주 남구, '국내 1호' 사직동 시간우체국 건립 속도낸다
- · 음주운전 등 비위행위로 10년간 광주전남 학교장 70명 징계
- · 드디어 무등산 정상 열렸다···시민들 '감동·환호'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