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건강과 관련하여 주목받고 있는 것 중 하나인 어싱(Earthing).
아스팔트 길뿐인 도시에서 흙을 만져보고 밟을 일은 굉장히 드물다고 볼 수 있다.
어싱길은 자연과 함께 어우러져 맨발로 땅을 밝고 걷거나 앉고 생활함으로써 지구의 치유 에너지를 인체로 받아들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광주 각 자치구는 일상생활 속 맨발 걷기를 활성화하기 위해 도심 속 가까운 공원 및 등산로에 공공시설을 설치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서구는 지난해 맨발걷기 시민운동본부와 협약을 맺고 맨발걷기 학교, 맨발걷기 홍보단·동아리 운영을 통해 맨발걷기 운동을 확산시키고 모바일 걷기 앱(워크온)을 활용해 다양한 걷기 챌린지를 운영 중이다.
서구뿐 아니라 북구 중외공원 편백숲, 동구 편백숲길 맨발산책로, 남구 제석산, 광산구 어등산 등 점차 늘고 있다.
따스한 봄, 우리 주변의 어싱길 어디에 있을까요?
문예송기자 rr3363@mdilbo.com
-
아트광주23서만 볼 수 있는 작품 무엇? 강용운 작 '도시 풍경都市 風景' 아트광주에 참여하는 지역 화랑들이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인 가운데 예술공간 집이 지역만의 특성을 살려 아트광주에서만 볼 수 있는 작품 선보이기 위한 기획을 펼칠 예정이라 눈길을 모은다.예술공간 집은 전남여고 인근 장동에 위치한 공간으로 지금까지 다양한 기획전 등을 펼쳐왔으며 지역 기획자들과 손잡고 다양한 기획을 진행해 온 지역 대표 문화예술 공간이다. 이번 아트광주23에 예술공간집은 국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주목 받고 있는 지역 작가 8인과 함께 참여한다.가장 주목할 작가는 국내 추상미술의 선구자로 아트페어에서는 첫 선을 보인은 강용운 화백이다. 작고 작가로 지난 2021년 광주시립미술관에서 탄생 100주년 전으로 대규모 회고전을 가진 바 있는 그는 최근 국내 미술계에서 다시금 주목 받으며 국립현대미술관과 리움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이 그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이번 아트광주에서는 그의 1940년대 작품들이 선보여진다. 강용운의 1940년대 작품은 희귀작으로 '도시풍경' '고대' '생명' '꽃' 등이다. 이와 함께 그의 1980년대 이후 작품부터 작고 직전인 2005년의 작품 등 총 13점이 출품된다.정승원 작 'Bremen(브레멘)'강용운 작가와 더불어 참여하는 7명의 작가는 이미 주목 받고 있는 지역 작가들이다. 고차분 작가는 최근 국내 미술시장에서 많은 컬렉터들의 이목을 이끌고 있으며 이인성, 정승원, 하루.K 등도 미술관, 미술시장서 눈길을 끌고 있는 작가들이다.해외에서 러브콜을 받고 있는 이매리 작가는 그동안 아트페어에서는 만나기 힘들었던 작가다. 송유미 또한 지난해 뉴욕 전시 등에서 호평을 받았으며 임남진 작가는 그동안 예술공간 집과 많은 활동을 펼치며 가능성을 인정 받아왔다.문희영 예술공간 집 대표는 "아트광주에서만 볼 수 있는 작품은 무엇이 있을까 많은 고민을 했고 그동안 페어에서 만나기 어려웠던 작품들, 또 작품성과 시장성을 모두 보장할 수 있는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려한다"며 "특히 강용운 화백의 작품 경우 부스 하나를 채울 예정으로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아트광주23에서 예술공간 집은 B-16, 17 부스에서 만날 수 있다.김혜진기자 hj@mdilbo.com
- · 건강한 국제적 미술시장, 광주에 펼쳐진다
- · 광주상의 장기미납자 회비 할인 논의 "갑자기?"
- · [어등산관광단지 공모 의미와 핵심] 인센티브 주되 '먹튀' 방지
- · '18년 표류' 끝내나···어등산관광단지 사업자 공모 재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