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시대 변화 따른 진화 한눈에
시간 지나도 여전히 세련돼 '눈길'
최근 각광 미니멀리즘 디자인도

제10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가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기술의 발전과 함께 변화하는 디자인과 이와 함께 변해가는 우리 일상 공간의 모습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전시품들이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 잡고 있다.
이번 본 전시를 아우르는 '테크놀러지'를 주제로 한 1관의 작품들이다. 테크놀러지관은 기술과 디자인이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내며 인류가 꿈꾸던 미래를 실현해왔음을 보여준다.
시각적으로 가장 눈에 띄는 '메리고라운드(merry-go-round)'가 이를 가장 잘 나타내는 작품이다. 한서디자인융합센터와 ㈜디엑스랩, ㈜테드웍스가 공동작업한 이 작품은 스마트홈과 공장, 사무실을 과거와 현재를 단적으로 비교해 보여준다. 왼쪽은 과거의 모습, 오른쪽은 현재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스마트홈 경우 소반은 공기청정기 기능을 탑재한 테이블로, 백색 가전을 대표하던 하얗고 작은 냉장고는 디자인을 입고 노크 한 번에 속을 들여다볼 수 있는 최첨단 가전을 대표하는 존재로 변화함을 보여준다.

스티브 잡스 밀랍인형으로 시선을 사로 잡는 '애플을 훔치다-애플 인사이드'는 제품의 외부 뿐만 아니라 내부까지도 디자인을 강조하던 스티브 잡스의 고집과 애플의 기술 발전상을 볼 수 있는 작품이다. 1976년 출시된 애플Ⅰ부터 매킨토시 128K(1984년), 맥프로(2013년)를 한눈에 볼 수 있다. 50여년 전의 제품임에도 촌스러움을 느낄 수 없는 디자인에 다시 한번 애플의 디자인 DNA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으로 관객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시대를 초월한 아이콘'은 현재까지도 사랑받고 있는 유럽의 미니멀리즘 디자인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4560디자인하우스가 출품했다. 간결하고 단순한 디자인 원칙에 기반해 제품을 개발하는 미니멀리즘 디자인은 불필요한 장식을 배제하고 기능성과 실용성을 강조한다. 바우하우스의 발상지인 독일을 비롯해 이탈리아, 덴마크를 대표하는 디자이너들의 1950년대 이후 시대를 초월한 작품으로 꾸며진 방과 전시공간에는 라디오, TV, 음향가전, 전화기, 커피머신 등 140여점이 채워졌다. 이중 뱅앤올룹슨 음향기기는 시대를 초월한 디자인의 가치를 경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1관에서는 AI, 웨어러블 로봇, IoT홈가전 등 4차 산업기술과 접목된 새로운 미래 디자인을 제시한다.
송성일 1관 큐레이터는 "디자인은 인류의 삶과 궤를 함께 하며 디자인 역시 기술 발전과 함께 공존하며 진화해 왔다"며 "테크놀로지관은 시대흐름 속에서 디자인이 어떻게 기술과 융합·진화해 왔으며 디자인의 역할은 무엇인가를 보여주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제10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11월 7일까지 휴관 없이 이어진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창설 30주년'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 역대 최대 규모로 창설 30주년을 맞는 제15회 광주비엔날레의 파빌리온이 역대 최대 규모로 펼쳐질 예정이다.30일 광주비엔날레 재단은 내년 9월 열리는 제15회 광주비엔날레 기간 국외 유수 문화예술 기관이 참여하는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이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고 밝혔다.내년은 광주비엔날레 창설 30주년이 되는 해로 내년을 기점으로 파빌리온을 대대적으로 확장, 세계 시민 사회를 현대미술을 매개로 광주에 결집시키고자 한다.내년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은 30여개 국이 참여해 펼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을 비롯한 아세안 국가와 아르헨티나, 오스트리아,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독일,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뉴질랜드, 페루, 폴란드, 카타르, 스웨덴 등이 참여하며 추가로 몇 개 국가가 협의 중에 있다.현재까지 참여가 확정된 국가들의 전시를 주관하게 될 해외 문화예술 기관은 오스트리아의 필레아스(Phileas), 카타르 국립 박물관(National Museum of Qatar), 독일의 플랫폼 뮌헨(PLATFORM Munich), 주한 이탈리아 문화원, 폴란드의 아담 미츠키에비츠 문화원(Adam Mickiewicz Institute) 등이 있다.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 참여국가인 오스트리아의 경우 공모를 통해 작가와 큐레이터를 모집했으며 그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오픈콜 결과 리슬 라프(Liesl Raff) 조각가와 피오나 리베어(Fiona Liewehr) 큐레이터를 비롯해 카롤리나 뇌바우어(Carolina Nobauer), 플로리안 마이어(Florian Mayr)가 공연 프로그램과 연출을 각각 맡았다.특히 캐나다, 이탈리아, 폴란드, 네덜란드 등은 지난 제14회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에 이어 이번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에도 연이어 참여해 의미를 더했으며, 남미 및 중동지역 국가가 새롭게 참여하면서 광주비엔날레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높음을 보여줬다.또한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에 아시아 국가들의 참여가 두드러지면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으로 구성된 아세안 파빌리온은 아시아 만의 차별화된 동시대 미술을 선보일 계획이다.광주비엔날레 재단은 이번 아세안 파빌리온 유치를 통해 아세안 국가 사이 네트워크 확장 및 협력 구조를 마련하고, 행사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교류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전략이다.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은 양림동 및 동명동 등지를 포함하여 광주 전역에서 펼쳐질 예정이며, 현재 재단 측에서 각 국가와 광주지역 문화예술 기관을 연결해주고 있다.광주의 역사와 동시대 미술을 접할 수 있는 광주 파빌리온도 신설됐으며 역동하는 광주 작가들을 만날 수 있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박양우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는 "지난 2018년 시도된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이 해외 유수 문화예술기관의 작가와 작품을 선보이는 국가 간 문화교류의 장으로 단시간에 자리매김했다"며 "광주를 중심으로 세계 미술계가 응집되고 결집됨으로써 광주가 세계 미술의 메카로 자리매김하는 데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이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이어 "내년에 창설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시 한번 광주를 구심점으로 역동하는 문화예술의 현장을 접하고 지역 주민은 물론 국민들에게 다양한 세계 미술을 관람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김혜진기자 hj@mdilbo.com
- · 11월 GB작가스튜디오, 윤세영 작가 만나
- · 서울시 도시경관담당관실, 광주폴리 탐방
- · 2023 UAUS 광주폴리 서포터즈 발대
- · 53만명 다녀간 광주디자인비엔날레, 대장정 마쳐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