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5·18에서 찾아보기 힘든 MZ세대
5월 포럼·행사에서 찾을 수 없는 젊은 세대
2030 세대 외면 속 “정신계승만 외쳐” 비판
기념재단 “VR체험장 마련 등 노력 계속할 것”

[42주년 5·18 세대를 뛰어넘어 손 잡자] ②5·18에서 찾아보기 힘든 MZ세대
42주년을 맞은 5·18민주화운동이 MZ세대(밀레니얼+Z 세대·1980~2004년생)에게 외면받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매년 열리는 기념행사 등이 기성 세대에게 초점이 맞춰져 비슷한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데다 최근에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각종 행사마저 축소되자 젊은 세대들의 관심 밖에서 '그들만의 리그'가 됐다는 목소리가 크다.
이에 따라 MZ세대들이 손쉽게 참여하고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획일적인 사고가 고착화된 5·18기념재단 주도가 아닌 지역 단위에서 학생 등이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다양한 행사가 기획되고 열려야 한다는데 설득력을 얻고 있다.
10일 5·18기념재단 등에 따르면 재단은 5·18민주화운동 42주년을 맞아 다양한 행사와 강의 등을 진행 중이다.
지난 3월부터 5·18의 다양한 이해를 위한 강연 및 대담을 진행하는 '오월기억포럼'을 열고 있다. 오는 6월까지 총 5차례에 걸쳐 열리는 포럼은 재독한인, 대동민주주의, 증언 등을 통해 5·18을 이해하고자 할 뿐만 아니라 '5·18학'의 정립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마련됐다.
하지만 이 포럼에서는 일명 'MZ 세대'라고 불리는 20~30대 젊은층들을 찾아볼 수가 없었고 대부분 5·18 관련자들이었다.
이는 개최 시간부터 문제다. 5회 모두 목요일과 금요일 오후 3시에 개최돼 학생이나 직장인들은 애초에 참여할 수가 없는 시간대에 열린다.
코로나 이전에는 그나마 젊은 학생들의 참여가 높았던 '레드 페스타'도 현재는 축소됐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이 많은 MZ세대들을 겨냥한 온라인 추모공간 등도 부재한 실정이다.
코로나로 비대면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인기를 끌고 있는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는 현재 각 대학이나 기업 등에서 입학식, 졸업식, 업무 회의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같은 메타버스를 통해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추모공간을 만드는 노력도 전무한 상태다.
특히 자료신청과 교육콘텐츠 제공을 위해 온라인 홈페이지로 마련된 '오월학교'의 게시물은 적게는 조회수가 100회도 되지 않는 것들도 있을 만큼 외면받고 있다.
이처럼 젊은층이 접할 수 있는 콘텐츠가 부족하다 보니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인식 조차 하고 있지 못한 MZ세대들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념재단이 최근 발표한 '2022년 5·18 인식조사'를 살펴보면 50대와 40대는 각각 97.4%, 94.9%가 5·18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30대와 20대는 각각 93.3%, 85.1%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20대는 전체 응답자 평균인 88.7%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10대는 조사 대상에서 빠져있지만 이러한 추이를 봤을 때 더욱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매년 5월이 되면 5·18 정신계승 및 세계화를 부르짖고 있지만, 해가 갈수록 정작 젊은 세대에게는 5·18이 외면받으면서 MZ세대의 눈 높이에 맞춘 5·18관련 행사 등이 기획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현재 기념재단에서는 5월18일을 UN 지정 세계 군사주의와 권위주의 방지의 날로 지정받기 위해 힘쓰고 있지만, 이에 앞서 우리 국민들에게 먼저 잊혀지지 않기 위한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는 주문이 쇄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희진(25·여)씨는 "우리 지역에서 일어난 아픈 역사를 나랑 비슷한 세대 친구들이 대부분 잊고 살아가는 것 같아서 마음이 아프다"며 "광주에서도 이정도인데 타지역 젊은층은 더욱 관심이 없을 것 같다. 타지역에서도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던지 온라인상에서의 공간을 만들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5·18기념재단 관계자는 "행사가 축소됐다고 하기보다는 기존의 재단에서 주도적으로 어떤 행사 등을 만드는 형태에서 거점 형식으로 마을 단위, 지역 단위에서 열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형태로 변화했다고 보는게 맞을 것 같다"며 "한곳에서 재단이 주최하는 것보다는 지역 단위에서 개최하면 학생 등이 더욱 참여할 수 있게 접근성이 더 좋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메타버스 등은 예산 문제로 인해 계획에 없지만 VR 체험장을 만들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MZ세대에 다가갈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12월 이달의 5·18민주유공자, 간첩 오인에 대검 찔린 故 김형진씨 선정 국립5·18민주묘지관리소는 12월 이달의 5·18민주유공자로 고 김형진씨를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1951년 7월 나주에서 태어난 고 김형진씨는 1980년 5월 23일 항쟁 당시 행상을 마치고 집으로 가던 길에 계엄군의 대검에 찔렸다.이후 병원으로 옮겨진 고 김형진씨는 폐절제술을 받고 갈비뼈를 드러냈으나 휴유증을 앓다 합병증으로 1982년 11월 만 31세의 나이로 눈을 감았다.고 김형진씨의 경우 5·18 희생자 중 유일하게 가해자가 밝혀진 사례다. 당시 고 김형진씨를 대검으로 찌른 계엄군은 간첩으로 착각해 찔렀다고 진술했다.국립5·18민주묘지관리소 관계자는 "이달의 5·18민주유공자 고 김형진씨는 제1묘역 2-99번에 잠들어 계시며 민주묘지를 방문하시면 언제든지 참배를 할 수 있다"며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추모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황일봉 5·18부상자회장 "남구청장 재임 시절 정율성 사업 추진 반성"
- · 法 "황일봉 5·18부상자회장 직위해제 권한 없어"
- · 5·18 가짜뉴스 접한 청소년 줄었다
- · 말려도 강행할 땐 언제고···'대국민 공동선언' 폐기 논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