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라지는 기후의 역습··· 지속가능 해법을 찾아

입력 2023.08.31. 11:14 이윤주 기자
'기후위기시대 전남, 미래를 일군다'
①프롤로그-뜨거워지는 전남, 기후위기보고서
전남 곳곳 아열대 기후 속속 진입
빈번한 이상기후 농어업 속수무책
높은 보험 의존도… 역량 강화 절실
'감축' 아닌 '적응' 위한 로드맵 짜야


'기후위기시대 전남, 미래를 일군다' ①프롤로그-뜨거워지는 전남, 기후위기보고서

기후위기가 일상화되고 있다. 올들어 유례없이 이어지는 이상기후에 농어촌은 시름에 잠겼다.

이상고온으로 개화가 빨라진 상태에서 지난 4월 기온이 영하 2도까지 떨어져 과일 착과 불량, 양파 등 생육 불량 피해가 발생했다. 이어 5월에는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마늘과 시설하우스 작물 등에서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6월에는 우박이 쏟아지더니, 7월에는 지금껏 본 적 없는 장마를 겪었고, 8월에는 폭염에 따른 고수온과 태풍까지 이어지며 몸살을 앓고 있다. 농어가 모두 속수무책으로 피해만 늘고 있다.


◆빨라지는 온난화

잦은 이상기후의 원인은 온난화로 지목된다. 전남도 빠른 속도로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

기상청 기후포털정보를 살펴보면 전남 연평균 기온은 2000~2009년 0.38도 상승경향을 보였으며, 최근 2010~2019년은 0.79도의 상승경향을 나타내며 두배에 가까운 속도를 보였다.

기후대 변화도 보다 뚜렷해지고 있다.

전남의 경우 일부 내륙지방을 제외하고 대부분 아열대 특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해안가를 중심으로 아열대기후(월 평균 기온이 10도 이상인 달이 8개월 이상 지속)에 속속 진입하고 있다.

기상청 '한국기후표'(1991~2020)에 따르면 목포, 여수, 순천, 완도, 진도, 신안 등은 월 평균 기온이 10도 이상인 기간이 8개월로 나타났다. 또 광양, 해남, 영암, 고흥, 무안, 함평, 영암 등은 7개월(4~10월) 평균 기온이 10도 이상이었으며, 11월에도 9~10도 사이를 유지해 사실상 아열대기후에 근접한 것으로 조사됐다.

강진, 장흥, 담양, 구례, 나주, 장성, 보성, 화순, 곡성 역시 4~10월 평균기온은 모두 10도 이상을 기록했지만, 11월 평균기온은 9도 아래로 집계됐다.

해수온도도 높아지고 있다. 최근 55년간(1968~2022년) 한국 해역의 연평균 표층수온은 약 1.36도 상승(전 지구 평균 대비 약 2.5배 이상 높은 수준)했고 같은 기간 동해 표층 수온은 1.82도 상승, 100m 수층 수온은 1.13도 저하, 500m 수층 수온은 0.07도 올랐다.

국립수산과학원이 전망한 올들어 하계수온은 평년(30년) 대비 0.5~1도 높고, 평년 대비 높은 기온과 많은 강수량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폭염 발생시 남해 연안은 약 50시간 이후, 서해연안은 약 12시간 후 표층 수온이 급격히 상승하는 등 전남 해역도 아열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커지는 농작물 재해

빈번해지는 이상기후에 농작물 재해도 크게 늘고 있다.

'전남도 농작물재해 복구비 지원실적'을 살펴보면 농작물 재해 빈도와 종류, 피해 규모 모두 확대되고 있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4월 (이상)저온이 반복적으로 발생했으며,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연속해 해마다 태풍이 3차례씩 덮치며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기상이변의 해'로 불리었던 2018년은 1~2월 동해·한파, 4월 이상저온, 6월 태풍·호우, 7~8월 폭염, 8월 태풍 '솔릭'·호우, 10월 태풍 '콩레이' 등으로 무려 8건의 재해로 벼, 과수, 맥류, 채소에서 5만4천993㏊ 규모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듬해인 2019년은 3~4월 이상저온과 5월 이상고온으로 급격한 기온변화를 겪었으며, 9월 태풍 '링링' '타파'에 이어 10월 태풍 '미탁'이 강타하며 총 6만7천155㏊의 피해면적을 기록했다.

2020년 역시 4월 이상저온·마늘2차생장, 6월 우박, 7~8월 집중호우, 8~9월 태풍 '바비' '마이삭' '하이선'으로 5만8천478㏊가 피해를 본것으로 집계됐다.

2021년은 태풍으로 인한 피해는 없었으나 봄부터 가을까지 우박이 계절을 가리지 않고 발생했으며, 집중호우와 대설·한파, 강풍 피해가 있었다. 지난해에는 9월 태풍 '힌남노'를 제외하고 큰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올들어 다시 이상기후가 빈번하게 출몰하며 농가의 피해를 키우고 있다.

현재로서는 정부 지원과 농작물재해보험에 기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2001년 사과·배 등 2가지 품목으로 시작한 농작물재해보험은 현재 67개 품목으로 대상이 늘었으며 가입농가수와 면적도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전남 농작물재해보험에 가입한 농가는 ▲2018년 6만6천919호(10만4천635㏊) ▲2019년 7만5천722호(11만7천186㏊) ▲2020년 9만4천258호(13만2천871㏊) ▲2021년 10만1천576호(13만9천584㏊) ▲2022년 10만6천345호(13만9천763㏊) 등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늘어가는 농작물 재해에 지급되는 보험금 규모도 상당하다.

이상기후가 속출하며 큰 피해를 입었던 2018년에는 1천466억4천100만원이, 태풍이 세차례나 강타한 2019년과 2020년에는 각각 1천891억8천400만원과 1천868억2천700만원이 지급됐다. 이어 2021년과 2022년에는 900억2천800만원과 991만5천900만원의 보험금이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손해율 역시 피해규모가 가장 컸던 2018년 132%, 2019년 201%, 2020년 158%를 기록했으며 비교적 재해가 잦아들었던 2021년과 2022년은 절반 이하인 63%와 60%로 줄었다.


◆낮은 기술적응성

기후변화와 이상기후에 대한 농업인들 체감도는 매우 높은 반면 대응능력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의 '기본구상 및 타당성 용역'(2021년)에 따르면 농업인들이 농업생산에 미치는 요인 가운데 기상요인이 50.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술요인(17.1%), 가격 요인(15.2%), 농업기술요인(10.1%), 기타요인(0.2%) 순이었다.

요인별 체감정도는 '평균 온도 상승' 90,4%, '장마시기 빨라짐' 85.2%, '평균 강우량 증가' 83.6%, '병해충 발생 횟수 증가' 71.4%, '평균 강설량 감소' 52.0%로 조사됐다.

기후변화가 농업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매우 부정적' 30.5%, '다소 부정적'이 45.6%로 부정적으로 느끼는 비율이 76.1%가 나타났다. 특히 단수 감소로 인한 생산량 감소, 착색 불량, 과실 당도 낮아짐, 채소 품질 나빠짐, 쌀과 잡곡 등의 품질 나빠짐 등 모든 품목에서 생산성이 저하된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처럼 이상기후에 따른 심각성에 비해 농업현장에서의 기술적응성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정보수집이나 지원역량도 부족한 실정이다. 농가고유 기후변화 대응 기술 보유 여부에 대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90.3%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있다'는 7.0%에 불과했다.

실제 기후변화 및 이상기후에 적응하기 위한 영농활동 현황을 보면 '농업재해보험 가입'이 54.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해 높은 의존도를 보였다. 농업재해보험은 현재 농민들이 체감하는 유일한 기후위기 정책으로 꼽힌다. 또 '기후기상 정보활용'(29.5%), '신품종 도입'(31.1%), '작물 전환'(26.3%)이 뒤를 이었다.


◆햇빛농사에 사라지는 농지

기후위기는 농업의 핵심기반인 농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태양광설비가 농촌까지 침투했고 잘 정리된 농지는 먹잇감이 됐다.

연금처럼 고정 수입이 보장되는 태양광은 고령화, 이상기후, 불안정한 농산물 가격 등으로 농사짓기 힘겨운 농업인들을 파고들었다.

전남 역시 태양광발전설비로 인한 농지전용 잠식이 심각하다.

최근 10년간 전남에서는 태양광시설 설비로 '축구장 4천560개' 규모의 농지가 사라진 것으로 조사됐다.

전남도 2013~2022년 태양광발전시설 농지전용 현황에 따르면 10년간 태양광발전시설로 인한 농지전용 면적은 1만3천848건, 3천258.6㏊에 이른다.

2013년 11.2㏊(49건)에 불과했던 농지전용은 매년 급증해 2014년 49.1㏊(200건), 2015년 155.3㏊(894건), 2016년 110.5㏊(578건), 2017년 327.7㏊(1천322건), 2018년 899㏊(4천195건)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19년 638㏊(2천387건), 2020년 545.4㏊(2천107건), 2021년 259.3㏊(994건), 2022년 263.1㏊(1천122건)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영농형 태양광도 있지만 농사짓기 좋은 땅을 태양광발전설비로 뒤덮는 것은 자칫 농지 훼손이나 난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결국 기후위기로 농사를 짓기 힘든 이들이 그곳에 태양광발전 설비를 들여, 환경보전의 수단이 될 수 있는 농지를 파괴해 다시 기후위기를 심화시키는 악순환의 고리가 생겨나고 있는 셈이다.


◆바다농사도 힘겨운 사투중

바다에서 터전을 일궈온 어업도 기후변화로 위기를 맞고 있다.

대표적인 1990년대 들어 빈번해진 적조다. 전남도 연도별 적조 발생 현황에 따르면 1995년부터 2022까지 적조로 인한 피해액은 1천44억원에 이른다. 1995년 여수~완도 해역에 54일간 적조가 발생해 216억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을 비롯해 2003년 176억(58일), 2015년 188억(56일), 2016년 347억(14일) 등 주로 여수, 완도, 고흥, 진도 지역 양식이 타격을 입었다.

최근 들어서는 고수온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여름 연안수온 상승으로 고수온과 적조, 해파리 같은 유해생물의 출몰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며 피해를 키우고 있다. 전남도가 집계한 고수온 피해는 10년간 700억원이 훌쩍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바다농사로 불리우는 양식업은 재해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다. 해류 환경에 따라 서식지를 이동하는 자연 어류과 달리 양식장은 재해 발생시 이동이 어려워 집단 폐사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수온 상승은 김, 굴, 새꼬막 등 양식생물의 산란 및 채묘시기가 바뀌며 양식순기도 변화됐다. 채묘시기가 굴과 새꼬막은 1~2개월 앞당겨진 반면 김은 10~20일 가량 늦춰졌다. 국내에 없던 질병이 유입되거나 새로운 질병이 생겨나며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온 상승은 어종들에도 영향을 줘 어업에도 많은 변화를 주고 있다.

한류성 어종은 줄어든 반면 고등어, 오징어 등 난류성 어종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해안에서 오징어와 멸치 생산량이 늘고 있으며, 과거 제주도 인근에서 주로 어획되던 방어는 이제 동해안에서 많이 잡히고 있다. 연근해 어업 생산량도 1980년대 152만t에서 최근 100만t 미만으로 감소했다.

전남에서도 주요 어종 어획량이 10년전에 비해 크게 줄었다. 어종별 감소량을 보면 참조기(34%), 젖새우(38%), 멸치(36%), 꽃게(21%) 등이다.


◆대응과 적응

기후와 밀접한 농업이나 수산업은 기상이변에 가장 민감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인구가 줄어들고 고령화된 상황에서 대응은 쉽지 않다.

탄소배출 감소 등 감축에 초점을 맞춘 대응과 함께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장기 로드맵을 짜 나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농업에서는 작목 전환, 육종·개량, 재해보험 강화, 기상정보를 활용한 영농 등이 논의 대상이다.

다양한 기상·기후 정보를 빠르게 습득하고 영농활동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키워나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농업과 수산업 모두 역량 강화 교육과 컨설팅 서비스의 확대가 강조되고 있다.

기획시리즈 '기후위기시대 전남, 미래를 일군다'는 빈번해진 이상기후에 전남의 기반인 농업과 수산업 분야의 현주소와 대응을 살펴본다. 또 주요 재배 작물 추이를 통해 기후변화를 조명한다. 아열대작물, 탄소저감농업, 어업의 변화, 국내 대표 스마트팜 거점시설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노력들을 소개한다.

네덜란드 와게닝겐 대학과 푸드밸리 그리고 국제양식수산인증기구인 ASC(Aquaculture Stewardship Council)를 찾아 기후위기를 어떤 방식으로 준비하고 적응해야할지를 제시한다. 또 국내외 취재를 바탕으로 농어민, 전문가들과 함께 지속가능한 농업과 수산업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이윤주기자 storyboard@mdilbo.com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 이건어때요??
슬퍼요
3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
메타버스
"메타버스 온라인 전시 콘테스트에 도전하세요"
전남문화재단은 오는 8월 8일까지 도내 예술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전시 콘테스트를 개최, 우수한 전시를 선정해 실제 전시를 개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이번 콘테스트는 지난해 12월 문화재단이 구축한 3D 디지털 트윈 방식의 '남도 메타버스 미술관'을 보다 많은 예술인이 관심을 갖고 자기 홍보를 위한 포트폴리오로 활용하도록 독려하기 위해 기획됐다.콘테스트 참가 자격은 도내 문화예술단체이거나 전남에 거주 중인 예술인, 3인 이상의 예술인 그룹이며 참여를 원하는 예술인은 '남도 메타버스 미술관'에 회원 가입해 온라인 전시관을 임대받아 미술작품을 업로드하면 된다.심사기준은 관객평가 70%·전문가 평가 30%로, 가장 배점이 높은 관객평가는 온라인 전시 조회 수와 방명록 횟수로 집계된다.때문에 온라인 전시를 주변에 널리 홍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온라인 전시관을 구성한 예술인을 선정해 온라인 전시가 실제 전시로 개최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자세한 내용은 남도사이버갤러리와 전남문화재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김선출 전남문화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온라인 전시 콘테스트는 메타버스 가상 온라인 전시 프로그램을 보다 많은 작가가 활용하도록 독려하기 위한 사업이다"며 "이 프로그램을 활용해 도내 미술작가들이 시공간 제약이 없이 자신의 작품을 아카이빙하고 홍보해 작가로서 인지도를 확장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이관우기자 redkcow@mdilbo.com
노잼도시
전국 SNS기자단, '꿀잼광주' 알리기 위해 뭉쳤다
전국의 20여 명이 '꿀잼광주'의 구석구석을 알리기 위해 뭉쳤다.광주시는 대전, 부산, 울산, 충남, 충북, 경남, 제주도 등 타시·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SNS기자단을 초청해 '지금은 꿀잼광주에 광며드는 중!'이라는 주제로 '2022 전국 SNS기자단 초청 광주 팸투어'를 지난 20일부터 21일까지 양일간 실시했다고 밝혔다.이번 팸투어는 제29회 광주세계김치축제, 서창들녘, 에너지파크, 전일빌딩245, 양림동근대역사문화마을,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GMAP), 여행자의 ZIP 등 가을정취와 문화를 만끽할 수 있는 관광지 중심으로 진행했다.특히, 제29회 광주세계김치축제 개막식에 참여해 강기정 광주시장과 홍보대사 배우 김수미와 깜짝 만남 시간을 갖고 생생한 축제 현장 분위기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 실시간 공유해 축제를 전국적으로 홍보했다.또, 1박2일간 광주상생카드룰 사용하며 로컬상품과 먹거리를 구매하는 등 지역 소상공인들과 소통하는 시간도 가졌다.20여 명의 전국 기자단이 1박2일간 광주 곳곳의 매력을 취재한 콘텐츠는 본인이 소속된 시·도 공식 소셜미디어 채널과 개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전국에 확산될 예정이다.투어에 참여한 부산 외국인 SNS기자단 싱정웨이(邢正威·중국) 씨는 "이번 기회를 통해 처음 방문한 광주의 맛과 멋뿐만 아니라 정이 스며들어 광며들고 간다"고 말했다.이영동 광주시 대변인은 "이번 팸투어를 통해 각 시·도 매체에 생생한 광주시 현장 콘텐츠가 전파돼 '꿀잼광주'의 매력을 홍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시·도 간 콘텐츠 교류 등을 통해 각 지자체만의 고유한 매력을 알릴 수 있도록 소셜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밀했다. 박석호기자 haitai2000@mdilbo.com
지방소멸
[카드뉴스] 동명동 핫플레이스, 보해소주 팝업스토어
광주에 젊은 활기가 가득한 곳 일명 '광주의 동리단길' 동명동에서 보해양조가 보해소주 스몰 액션 스토어(팝업스토어)를 지난달 12일에 시작했다. 스몰 액션 스토어는 MZ세대와 친환경·자연환경에 관심있는 사람들을 겨냥한 힙한 팝업스토어다. 팝업스토어는 바다를 보호하는 일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기획된 것으로 보해소주 스몰 액션(SMALL ACTION) 캠페인의 첫걸음이다. 보해소주 스몰 액션 캠페인은 스몰 액션 캠페인이라는 이름과 같이 '작은 실천으로 환경을 지키자'는 취지로 플로깅 활동을 진행한다. 플로깅(plogging)이란 걸으면서 쓰레기를 줍는 활동을 말한다. 스몰 액션 캠페인은 보해가 가지고 있는 '바다의 보물'이라는 뜻을 담은 사명처럼, 쓰레기를 줍고 줄이는 작은 행동이 모여 보물 같은 바다를 소중히 하자는 취지에서 이번 캠페인을 준비했다.보해양조는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해 2030세대가 가득하고 광주에서 유동인구가 많은 동명동을 선택했다. 플로깅 활동을 참여하게 되면 생분해성 수지 위생장갑, 비닐봉지, 대나무 집게로 구성된 친환경 플로깅 체험 키트를 받아 동명동 일대에서 플로깅할 수 있다. 이후 가져온 쓰레기 분류를 마치면 소금 아이스크림으로 리워드를 받을 수 있다. 또한 SNS 업로드와 설문 참여 시 보해소주 굿즈를 추가로 증정한다. 참가자들은 플로깅에 동참하면서 육지의 쓰레기를 줄이는 것이 결국 소중한 바다를 지키는 첫걸음이란 것을 경험할 수 있도록 이벤트를 만들었다.수거된 쓰레기는 작가들과 협업을 거쳐 새로운 작품으로 재탄생해 팝업스토어 곳곳에 설치될 예정이다. 방문객들은 전시된 작품을 보면서 '쓰레기에서 보물로(From Trash To Treasure)' 거듭나는 과정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보해소주 스몰 액션 스토어'는 7월 12일까지 총 두 달간 운영되며 휴무일 없이 오후 12시부터 오후 8시까지 방문 가능하다. 방문객들을 위해 플로깅 체험 외에도 친환경 에코백, 양말, 보해소주가 더해진 프리미엄 플로깅 키트 등 다양한 굿즈 판매도 함께 진행된다.보해소주에서 해양보호 캠페인으로 이어진 나비효과보해소주는 기존 소주와 다르게 소금을 넣었다는 가장 큰 차별점이 있다. 보해소주는 세계 3대 소금으로 불리는 히말라야 핑크소금, 안데스산맥 호수 소금, 신안 토판염을 사용하여 소주 특유의 쓴맛과 강한 알콜향을 잡는 솔트레시피를 통해 기존 소주의 '과당'으로 맛과 향을 가리는 제조방식을 깬것이다. 2021년 출시 후 소비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면서 '보해소주'가 역대 신제품 가운데 가장 높은 판매량을 보이며 소비자들에게 사랑을 받았다. 그리고 보해양조는 보해소주에 사용되는 소금이 결국 바다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기에 건강한 바다 환경을 만들기 위한 해양 환경 보호 캠페인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보해양조는 어떤 기업인가?보해양조는 목포에 본사를 둔 광주전남 대표 주류전문 기업이다. 보해소주 말고도 잎새주, 복받은 부라더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보해소주 팝업스토어 어디서 할까?보해양조와 아우르(OWLR)가 콜라보한 보해소주 스몰 액션 팝업스토어는 광주 동명동 아우르 팝업존(별채)에서 진행 중이다. 아우르는 지난달 오픈한 ㈜광지주의 첫 브랜드다. 전남 특산물을 활용한 다이닝 바, 그로서리 마켓 등 전남 로컬푸드를 알리는 복합문화공간이다.해양 환경 보호를 위한 보해양조 행보지난달 12일 문을 연 광주 동명동 팝업스토어를 통해 그 시작을 알렸으며, 이어서 25일 목포 보해소주 플로깅 센터 & 스몰 액션 스토어를 오픈했다. '보해소주 플로깅 센터'는 목포 여객터미널과 도보로 5분 정도 떨어진 곳에 자리했다. 보해는 여객터미널 이용객들이 배를 기다리는 시간을 이용해서 플로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플로깅 센터를 열게 됐다. 섬에 들어가는 관광객들도 플로깅 키트를 받아 관광을 하며 플로깅에도 동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가자들 중 플로깅하고 있는 사진에 해시태그 'pickup_bohae'를 인스타그램에 올리면 추첨을 통해 플로깅과 관련된 굿즈를 제공한다. 플로깅 센터와 스몰 액션 스토어는 올해 12월 31일까지 운영되며 휴무일 없이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방문 가능하다.문예송기자 rr3363@md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