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요리 주제로 동시 50편 수록
건강한 맛·사랑·관계 등 가치 담아
서로 나누는 행복 의미 시로 승화

음식은 단순한 먹거리가 아니다.
우리는 음식을 통해 건강한 맛과, 사랑, 관계, 환경 등 소중한 가치를 배울 수 있다.
동화작가 박형숙씨가 최근 첫번째 동시집 '동시 한 접시 드실래요?'(고래책빵刊)를 펴냈다.
이번 동시집에에는 음식과 요리를 주제로 한 50편의 동시가 담겨 있다.
채인화 작가가 협업한 삽화는 등장하는 아이들의 표정이 생기 넘치고 재료와 음식을 살아있는 듯 동시의 맛을 더욱 풍성하게 한다.
시인은 음식에는 생존을 위한 가치 등 소중한 의미들이 들어 있다고 말한다다. 시인은 이런 가치를 담아 한 편 한 편의 동시를 탄생시켰다. 그 본바탕에는 아이들의 몸과 마음이 튼튼하게 자라나길 소원하는 시인의 마음이 새겨져 있다.
"엄마가 주방에 들어서면/ 조미료 병들이/ 까치발을 해요// 나도! 나도!/ 오늘 요리에는/ 자기가 꼭 들어가야 한다고/ 시끌벅적// 조용, 조용, 조용히/ 무얼 만들까/ 아직 결정도 안 했거든요/ 엄마가 조미료로 병들을 토닥토닥// 간장, 소금, 설탕, 식초, 참기름, 깨…// 모두가 까치발 내리고/ 엄마 손끝 따라다녀요."(동시 '나도! 나도!'' 전문)
박 작가는 학교를 떠났어도 아이들의 몸과 마음이 튼튼하게 자라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시들을 써냈다.
엄마는 음식을 만들기 위해 온갖 양념으로 맛을 내야 하는데 무엇부터 넣을까 고민한다.
그런데 양념들이 자기를 꼭 넣어달라고 시끌벅적 요란을 떤다.
그런가 하면 '진달래 화전'을 보며 치지직 봄이 익어가고 바다에서 일어나는 일 모두모두 들으려고 '귀가 여러 개'라고 노래한다.
대보름에 먹는 소담소담 '세해 복 맞이'에서 복쌈도 당장 먹어보고 싶다며 사물을 바라보는 시인의 상상의 나래는 끊임 없이 독자들 앞으로 펼쳐진다.
박형숙 작가는 "동시를 통해 많은 뜻이 담긴 음식을 소중하게 여기고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가지면 좋겠다"며 "음식은 자신의 행복에서 시작해 서로 나누면 많은 사람이 행복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자 시인은 해설에서 "먹을수록 쫄깃쫄깃하고 맛있는 동시, 몸과 마음을 튼튼하게 해 줄 동시"라며 "이 말처럼 맛있는 음식을 먹듯 차근차근 요리 동시를 읽다 보면 아이부터 어른까지 건강한 맛을 알게 되고 사랑과 추억의 맛은 음식을 나누는 것처럼 서로의 마음을 훈훈하고 배부르게 한다"고 평했다.
박형숙 작가는 곡성에서 태어나 광주대 문예창작과와 전남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지난 2021년 '시와사람'으로 등단했다. 지금까지 '이름도 많구나, 명태'를 펴냈으며 한국동시문학회, 광주·전남아동문학인협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오랫 동안 교편을 잡았다.
최민석기자 cms20@mdilbo.com
-
세계 각국에 불어닥친 '경제전쟁'의 모습 뉴시스 경제의 이면에는 내셔널리즘이 존재한다.이는 곧 자국중심주의로 철저히 국익을 추구하는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행태로 귀결된다.조영정씨가 쓴 '경제 내셔널리즘: 경제 국인주의'는 경제 내셔널리즘을 연구 분석한 책이다. 저자는 오늘날 현실에서 경제 내셔널리즘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관찰하고, 그 본질과 발생원인을 구명하고, 이로 인한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본서는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이 책은 내셔널리즘과 경제 내셔널리즘의 개념, 현실세계에서 경제 내셔널리즘이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또 경제 내셔널리즘의 역사와 존재의 이유, 다섯째, 경제 내셔널리즘이 국가에 기여하는 측면에 대해 들여다보고 있다.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는 경제 내셔널리즘을 사례를 들어 기술하고 있어서 시종일관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경제 내셔널리즘이 강하게 일고 있는 오늘의 세계에서 경제 분야의 전문가나 지식인들은 물론이고 일반인들도 반드시 알아야 할 지식을 담은 교양서이다.내셔널리즘은 민족주의가 아니며, 민족주의라고 하자고 해도 될 수가 없다. 민족주의라고 해서는 말이 엉켜버리기 때문이다. 민족, 민족주의 용어로서는 네이션, 내셔널리즘의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뜻이 다르게 전달되기도 하여 학문적인 논의를 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룩셈부르크 민족(Luxembourgers)은 네이션이 되었는데, 왜 버건디 민족(Burgundians)은 네이션이 되지 못했는가?"와 같은 것을 논의하는 것이 네이션, 내셔널리즘 연구이다. 그런데 여기서 네이션을 민족이라고 번역해서는, "룩셈부르크 민족(Luxembourgers)은 민족이 되었는데, 왜 버건디 민족(Burgundians)은 민족이 되지 못했는가?"와 같이 표현하게 되는데, 이렇게 해서야 어떻게 논의가 가능하겠는가?경제 내셔널리즘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삼성과 애플의 양강 구도로 되어 있다.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을 보면 두 회사가 큰 몫을 점하고 있는 가운데 어느 때는 삼성이 앞서기도 하고 어느 때는 애플이 앞서기도 한다. 이렇게 세계시장에서의 점유율은 양사가 거의 비슷하지만 두 기업 본국에서의 상황은 완전히 다르다. 삼성의 본국인 한국에서는 삼성의 점유율이 애플 점유율에 비하여 두 배가 넘고, 애플의 본국인 미국에서는 애플의 점유율이 삼성 점유율의 두 배가 넘는다. 경제 국인주의는 현실성 없는 대중인기영합주의적으로 될 위험이 있다. 세계는 이미 크게 상호의존되어 있어서 대외거래를 줄이려고 하더라도 이것이 쉽지 않게 되어 있다. 국제 상호의존이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되어 온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되돌리는 것이 단번에 될 수 없는 일이다.지금 세계에 경제 내셔널리즘이 강하게 휘몰아치고 있다. 세계화와 개방경제체제 속에서 모든 국가들이 자국의 이익을 위하여 생존을 건 투쟁을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 내 기업과 국민들도 변동성과 불확실성 속에서 하루하루를 살얼음 걷듯이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오늘의 세계경제를 총성 없는 전쟁이라고 한다.이 경제전쟁의 바탕이자 원동력이 경제 내셔널리즘이다.조영정씨는 사회사상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자로 고려대 대학원 무역학과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U.C.버클리 객원교수를 거쳐 현재 사회사상연구원장으로 할동 중이다.최민석기자 cms20@mdilbo.com
- · [새책안내] 퓨처 노멀 外
- · 詩로 토해낸 사랑·그리움·외로움
- · 세상에 대한 간절한 바람과 연민 어린 시선
- · 국토 곳곳의 유적으로 만나는 우리 역사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