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쟁은 우연한 사건이나 작은 실수로 일어나는 경우가 적지 않다.
1937년 7월 7일 밤 베이핑 교외 루거우차오에서 야간 훈련 중이던 현지 일본군 부대가 중국군의 도발로 병사 한 명이 실종됐다는 허위 보고를 했다. 무다구치 렌야는 처음에는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현장에 참모를 파견했다.
공명심에 눈이 멀어서 마음을 바꾸고는 본국의 허락도 없이 반격을 지시해 사건을 확대했다. 이것이 8년 중일전쟁의 도화선이 된 루거우차오사건이었다.
조직에서 가장 경계해야 할 유형은 멍청하면서 부지런한 사람이다. 자신 전적에만 눈이 멀어 자신의 부하들은 물론 조직을 와해하기 때문이다.
그 대표 예가 무다구치 렌야다. 자신의 공명심을 위해 중일전쟁의 발단이 된 루거우차오사건을 일으켰고 병사들을 지옥으로 몰아넣고 일본군을 위험에 빠뜨리는 임팔작전을 펼쳤다.

책 '별들의 흑역사'는 제2차 세계대전을 비롯한 제1차 세계대전, 스당 전투, 한국전쟁 등에서 진두지휘한 무능한 패장 12명 이야기를 전한다.
무솔리니의 정치군인 로돌포 그라치아니, 일본군 최악의 싸움이었던 임팔작전의 주인공 무다구치 렌야, 명장에서 범장으로 전락한 모리스 가믈랭, 중국을 위기에 빠뜨린 조지프 스틸웰, 한국전쟁 사상 가장 큰 패전을 기록한 국군 제3군단 군단장 유재흥이 똥별로 전락한 과정을 톺아본다.
이 책은 역량이 부족한 지휘관의 돌이킬 수 없는 실수가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그를 믿고 따르는 수많은 병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준다.
리더가 누구냐에 따라 한 조직의 명운이 바뀔 수 있다. 특히 수많은 변수가 존재하는 전장에서는 무엇보다도 신속하게 판단하여 적재적소에 인원을 배치하여 최소의 인원으로 적군을 절멸하고 승리로 이끄는 자가 훌륭한 리더일 것이다. 전쟁의 승패는 차치하더라도 자신의 목숨은 물론 수많은 병사, 나아가 한 나라의 국운이 달려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역사에는 자기만의 이익을 꾀하고 실패를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리는, 리더로서의 자질이 부족한 무능한 자가 요직에 앉았던 경우가 허다하다.
독일 바이마르공화국군의 수장 쿠르트 폰 하머슈타인-에쿠오르트는 다음의 네 가지 유형으로 장교를 구분했다.
"내가 생각하는 장교에는 네 가지 유형이 있다. 똑똑하고, 부지런하고, 멍청하고, 게으른 장교다. 대다수 장교는 두 가지 특성이 결합되어 있다. 몇몇은 영리하고 부지런하다. 그들은 참모본부에 적합하다. 다음은 어리석고 게으른 자들이다. 군대의 90퍼센트를 차지하고 일상적인 업무에 걸맞다. 현명함과 게으름 두 가지 모두 갖추고 있다면 최고의 지도자를 맡을 자격이 있다. 왜냐하면 어려운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신력과 배짱이 있기 때문이다. 반드시 주의해야 할 사람은 멍청하면서 부지런함을 갖춘 자다. 그는 무엇을 하건 간에 조직에 해를 끼칠 뿐이므로 어떤 책무도 맡아서는 안 된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는 말처럼 책임을 져야 할 위치에 오르게 되면 그에 걸맞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을 하기 마련이다. 더욱이 수많은 전투 경험이 있는 백전노장이라면 말할 나위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예외는 있는 법. 이탈리아군의 피에트로 바돌리오나 프랑스군의 모리스 가믈랭처럼 나이와 경험이 많다고 해서 직위와 본분에 맞게 언제나 유능하다고 할 수 없다.
위대한 승장과 패장의 차이는 무엇일까. 그들의 처참한 실패를 살펴보며 진정한 명장의 의미를 알 수 있다.
최민석기자 cms20@mdilbo.com
-
"소설 창작에 매진하라는 채찍질로 기쁘게 수상" 정지아 소설가 "더욱 더 소설 창작에 매진하라는 채찍질이라 생각합니다. 만해 한용운 선생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만해문학상을 받게 돼 개인적으로 기쁨이 큽니다."제38회 만해문학상 본상 수상자로 선정된 소설가 정지아(58)씨는 소감을 이같이 밝혔다.수상작은 장편소설 '아버지의 해방일지'다.이 작품은 전직 빨치산 아버지의 장례를 치르는 3일간의 이야기로, 화자인 딸 아리는 아버지의 기억을 촘촘히 떠올리고, 빈소를 찾은 친척과 이웃 등이 들려준 일화를 통해 아버지의 일생을 통해 개인적 서사와 분단의 역사를 밀도 있게 그려낸 수작으로 꼽힌다.만해문학상 주관사 창비는 "한반도 분단, 좌우 갈등과 투쟁, 민간인 학살 같은 어두운 역사를 다룸에도 유머러스한 어법과 개성 넘치는 인물을 통해 밝음과 어둠이 뒤섞이고 웃음과 슬픔이 교차하는 수작을 완성해냈다"며 "삶과 사람, 역사를 작가 자신의 가족사를 토대로 설득력 있게 그려낸 작품"이라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소설은 '전직 빨치산' 아버지의 죽음 이후 3일간의 시간만을 현재적 배경으로 다루지만, 장례식장에서 얽히고설킨 이야기를 따라가다보면 해방 이후 70년 현대사의 질곡이 생생하게 드러난다. 남도의 구수한 입말로 풀어낸 일화들은 저마다 서글프지만 피식피식 웃기고, 울분이 솟다 말고 '긍게 사람이제' 한마디로 가슴이 따뜻해진다.소설 속 아버지는 지리산과 백운산을 카빈 소총을 들고 누빈 빨치산이었다. 그는 일제강점기가 끝난 직후 평등한 세상을 꿈꾸며 싸웠으나 처절하게 패배했다. 동지들은 하나둘 죽었고, 아버지는 위장 자수로 조직을 재건하려 하지만 그마저 실패했다. 그럼에도 아버지는 자본주의 한국에서 평생을 사회주의자로 살았다. 평등한 세상이 올 거라는 믿음을 포기하지 않았고, 생판 초면인 이들의 어려움도 무시하지 않았다. '나'는 그런 아버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조금 우스꽝스럽게 생각한다. 누구나 배불리 먹고 차별없이 교육받는 세상이 이미 이뤄진 마당에 혁명을 목전에 둔 듯 행동하는 아버지의 모습은 누가 봐도 블랙코미디에 가깝기 때문이다. 정 작가는 그렇게 평행선을 달려온 '나'와 아버지의 모습 속에서 노동절 새벽, 전봇대에 머리를 박고 세상을 등진 아버지를 통해 가족과 역사를 그려냈다.정지아 작가는 써내는 작품마다 삶의 현존을 정확하게 묘사하며 독자와 평단의 찬사를 받아온 작가는 이번에 역사의 상흔과 가족의 사랑을 엮어낸 대작을 선보임으로써 선 굵은 서사에 목마른 독자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정지아 작가는 1965년 구례에서 태어나 중앙대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박사과정을 마쳤다. 1990년 장편소설 '빨치산의 딸'을 펴내며 작품활동을 시작, 199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고욤나무'가 당선됐다. 소설집 '행복' '봄빛' '숲의 대화' 등이 있다. 김유정문학상, 심훈문학대상, 이효석문학상, 한무숙문학상, 올해의 소설상, 노근리 평화문학상 등을 수상했다.한편 만해문학상은 시인이자 독립운동가, 불교 승려였던 만해 한용운(1879~1944) 선생의 업적을 기념하고 문학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1973년 제정됐다. 본상의 상금은 3천만원이며, 2016년 상금 1천만원의 특별상을 신설해 본상과 장르가 다른 작품에 시상하고 있다.올해 특별상은 고명섭 한겨레신문 기자의 인문서 '하이데거 극장: 존재의 비밀과 진리의 심연'이 선정됐다. 시상식은 오는 11월 중 열릴 예정이다.최민석기자 cms20@mdilbo.com
- · [새책안내]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外
- · 모든 역사는 로마로 통한다
- · 순수한 시언어로 써낸 일상 속 아이들의 마음
- · 광주문학관, 22일 개관···'문향' 광주 알린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