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 고향사랑기부제] "지방 재정 확충의 마중물 되길 기대"

입력 2023.01.04. 10:37 김종찬 기자
신우철 완도군수
지자체 발전 동력 위해 성공 절실
구체적 사업 홍보로 기부동기 유발

"고향사랑기부제는 지방 재정 확충의 마중물이라고 생각합니다. 고향사랑기부제가 완도에 성공적으로 정착되길 바랍니다."

신우철 완도군수는 "전남 시·군 평균 재정자립도 24%로, 자체수입으로 인건비를 충당하지 못하는 자치단체가 13곳에 이른다"며 "완도군도 마찬가지긴 하지만 이는 군만의 힘으로는 할 수 없고,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고민해야 하는 사항이다. 국가가 재정 지원책을 마련하지 못할 경우, 지자체는 발전 동력을 잃어 쇠퇴하고, 인구 감소 등으로 인해 소멸 위기 지역으로 빠르게 빨려들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신 군수는 "이러한 현실을 감안해 재정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고향사랑기부금 제도다"며 "고향 발전을 위한 기부금은 개인 누구나 연간 500만원까지 주소지 외 전국 모든 지자체에 기부할 수 있고, 기부자에게는 세액 공제 혜택과 답례품을 제공 받을 수 있다. 기부금은 사회적 취약계층, 청년의 지역 정착, 지역민을 위한 문화·예술·보건 등 지역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사업에 사용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신 군수는 일본의 사례를 예시로 들며 "고향사랑기부금은 지방 재정 확충으로 국토 균형 발전과 지역 간 재정 격차 해소뿐 아니라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어 쇠퇴와 소멸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며 "지난 1일부터 시행된 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은 지자체의 준비 여하에 달려 있다. 조례 제정 등 체계적인 제도를 마련하고 자발적인 기부 문화 조성을 위해 고향사랑기부제 홍보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고향사랑기부금 제도의 성공적인 사례로 자주 언급되는 일본의 경우 지난 2008년부터 도입해서 2020년까지 기부금 규모가 7조원이 넘을 정도로 활성화됐다. 심지어는 지방세 보다 많은 기부금을 받는 지방자치단체도 일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중요한 것은 기부자 입장에서 볼 때, 기부금이 어떻게 무엇을 위해 유익하게 사용될 것인지를 알 수 있게 구체적인 사업을 제시하며 홍보해야 한다"면서 "유관기관 협력 체계 구축 및 인적·물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홍보 활동을 통해 자발적인 기부 동기를 불러일으켜야 한다. 기부자들의 고향 발전을 위한 마음과 공동체 의식이 무엇보다 먼저다"고 밝혔다.

또 "기부자에게 감사의 마음을 담아 전달할 답례품,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차별화된 답례품을 준비해 지역 경제 활성화도 도모해야 한다"며 "완도군에서는 군민과 향우 등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답례품 선호도 조사를 통해 전복과 건어물, 해조류, 모링가, 유자 등 다양한 지역 특산품과 해양치유 체험 상품, 세계농업유산인 청산도 구들장논 오너제, 국가중요어업유산 고금 지주식 김 오너제 등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신 군수는 "고향사랑기부제는 지방자치단체가 그 지역에 기부를 권유하거나 독려하는 등 홍보는 할 수 없도록 법률에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고향사랑기부제에 대한 내용을 알리는 설명회를 개최하고, 우수한 지역 특산물로 구성된 답례품 등을 강조해 대도시 시민과 향우들의 자발적인 기부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면서 "고향사랑기부제를 통해 최대한 많은 기부금을 확보해 완도군의 재정력을 보충하고 소중한 기부금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완도=조성근기자

슬퍼요
2
후속기사 원해요
2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