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 코너 대기줄까지 진풍경
'인생샷' 찍기 위한 인파까지

2023 광주디자인비엔날레가 개막 첫 주말,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성공적 시작을 알렸다.
광주디자인진흥원(원장 송진희)은 개막 첫 주말 관람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주말을 맞은 비엔날레전시관에는 가족단위 관람객들이 잇따라 방문했다. 특히 여행사를 통한 관광객들을 비롯해 단체 관람이 줄을 이었는데, 지난 8일에는 전북 완주 봉서중, 광주예술고, 부산 수영구청, 경기 시흥시의회 등이 단체로 디자인비엔날레를 찾기도 했다. 이들의 발걸음은 시립미술관, 동구미로센터, 나주 한국천연염색박물관 등에서 펼쳐지는 특별·연계전으로 이어지기도 하며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전시관 곳곳의 체험코너는 관람객들에게 재미를 선사하며 인기를 얻기도 했다. 특히 인기 코너에는 체험을 기다리는 줄이 생기기도 하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메타버스 체험존은 컬러링 스티커를 붙이기 위한 체험객들로 붐볐으며 쟈니브로스의 '쟈니버스'는 레드카펫 포토존이 인기를 끌었다. 플래지어의 '거대하고 맛있는 빈백'은 휴식을 취하는 이들로 가득 찼으며 '더 리틀 큐레이터' '나만의 머그컵 디자인 체험'과 '카카오 프렌즈 VR 레이싱' 등은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관람객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국내외 석학, 저명인사 등이 참여한 국제학술행사도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지난 7일과 9일에는 인기 외국인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와 다니엘 린데만이 참여하며 눈길을 모았으며 지난 8일에는 문화콘서트 '야금비콘'이 비엔날레전시관 광장에서 열려 관람객 뿐만 아니라 인근 주민들에게 색다른 휴식을 선사했다.
한편 제10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11월 7일까지 휴관 없이 광주비엔날레전시관 등 광주 곳곳에서 열린다. 본 전시를 비롯해 4개 특별전과 5개 연계·기념전 등 10개의 디자인 전시, 디자인 체험·교육, 시민참여 프로그램, 해외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디자인마켓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창설 30주년'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 역대 최대 규모로 창설 30주년을 맞는 제15회 광주비엔날레의 파빌리온이 역대 최대 규모로 펼쳐질 예정이다.30일 광주비엔날레 재단은 내년 9월 열리는 제15회 광주비엔날레 기간 국외 유수 문화예술 기관이 참여하는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이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고 밝혔다.내년은 광주비엔날레 창설 30주년이 되는 해로 내년을 기점으로 파빌리온을 대대적으로 확장, 세계 시민 사회를 현대미술을 매개로 광주에 결집시키고자 한다.내년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은 30여개 국이 참여해 펼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을 비롯한 아세안 국가와 아르헨티나, 오스트리아,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독일,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뉴질랜드, 페루, 폴란드, 카타르, 스웨덴 등이 참여하며 추가로 몇 개 국가가 협의 중에 있다.현재까지 참여가 확정된 국가들의 전시를 주관하게 될 해외 문화예술 기관은 오스트리아의 필레아스(Phileas), 카타르 국립 박물관(National Museum of Qatar), 독일의 플랫폼 뮌헨(PLATFORM Munich), 주한 이탈리아 문화원, 폴란드의 아담 미츠키에비츠 문화원(Adam Mickiewicz Institute) 등이 있다.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 참여국가인 오스트리아의 경우 공모를 통해 작가와 큐레이터를 모집했으며 그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오픈콜 결과 리슬 라프(Liesl Raff) 조각가와 피오나 리베어(Fiona Liewehr) 큐레이터를 비롯해 카롤리나 뇌바우어(Carolina Nobauer), 플로리안 마이어(Florian Mayr)가 공연 프로그램과 연출을 각각 맡았다.특히 캐나다, 이탈리아, 폴란드, 네덜란드 등은 지난 제14회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에 이어 이번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에도 연이어 참여해 의미를 더했으며, 남미 및 중동지역 국가가 새롭게 참여하면서 광주비엔날레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높음을 보여줬다.또한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에 아시아 국가들의 참여가 두드러지면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으로 구성된 아세안 파빌리온은 아시아 만의 차별화된 동시대 미술을 선보일 계획이다.광주비엔날레 재단은 이번 아세안 파빌리온 유치를 통해 아세안 국가 사이 네트워크 확장 및 협력 구조를 마련하고, 행사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교류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전략이다.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은 양림동 및 동명동 등지를 포함하여 광주 전역에서 펼쳐질 예정이며, 현재 재단 측에서 각 국가와 광주지역 문화예술 기관을 연결해주고 있다.광주의 역사와 동시대 미술을 접할 수 있는 광주 파빌리온도 신설됐으며 역동하는 광주 작가들을 만날 수 있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박양우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는 "지난 2018년 시도된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이 해외 유수 문화예술기관의 작가와 작품을 선보이는 국가 간 문화교류의 장으로 단시간에 자리매김했다"며 "광주를 중심으로 세계 미술계가 응집되고 결집됨으로써 광주가 세계 미술의 메카로 자리매김하는 데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이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이어 "내년에 창설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시 한번 광주를 구심점으로 역동하는 문화예술의 현장을 접하고 지역 주민은 물론 국민들에게 다양한 세계 미술을 관람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김혜진기자 hj@mdilbo.com
- · 11월 GB작가스튜디오, 윤세영 작가 만나
- · 서울시 도시경관담당관실, 광주폴리 탐방
- · 2023 UAUS 광주폴리 서포터즈 발대
- · 53만명 다녀간 광주디자인비엔날레, 대장정 마쳐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