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디자이너 첫 온라인몰 구축
클래식함에 유니크함 담아낸
'SIS' 론칭…젊은 세대 취향 반영
지역적 경계 뛰어넘을 반향 주목

지역 출신으로 프랑스 파리 마레지구에서 15년 동안 자신의 브랜드 샵을 운영해온 황미나 패션디자이너. 지난 2018년 고향에 '텔레시스 파리(TELESIS PARIS)'를 열고 광주에 정통 파리 패션을 선보여온 그가 이번에는 MZ세대와 온라인 고객을 겨냥하는 새로운 라인을 선보여 눈길을 모은다.
황미나 텔레시스 파리 대표는 최근 온라인몰을 구축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나섰다고 밝혔다. 최근 젊은세대를 중심으로 명품 브랜드 못지 않게 디자이너브랜드가 인기를 끌고 있는 상황이다. 디자이너 브랜드가 보다 활발하게 활동을 펼치고 있는 서울에서는 한 브랜드가 시즌별 상품을 오픈하면 이를 보기 위해 몰려든 이들로 매장 앞이 긴 줄로 둘러싸이기도 한다.
이같은 시장 분위기에 맞춰 텔레시스 파리도 온라인시장에 뛰어들었다. 지역서는 처음 선보이는 디자이너 브랜드의 온라인 서비스로 공간적 한계를 뛰어넘어 '지역에서도 가능하다'는 것을 인정받겠다는 포부다.

이와 함께 온라인몰에서 옷을 구매하는 것이 익숙한 MZ를 겨냥해 새 라인 '시스(SIS)'를 봄/여름 컬렉션을 지난 5월 론칭했다. 다소 높은 가격대로 인해 텔레시스 파리의 현재 고객층이 4050에 맞춰져있다면 시스라인은 소재에 변화를 줘 보다 합리적인 가격대로 선보인다.
패스트패션과는 결이 다르다. 텔레시스 파리와 같이 경력 40년 이상의 패턴·재단·바느질 장인에 맡겨 모두 수작업으로 이뤄진다. 소재 또한 모두 수입 원단이었던 것에서 고급 수입 소재와 독특한 소재를 혼합해 이뤄진다. 이를 통해 가격 대비 높은 품질의 의상을 선보이며 시시각각 변화하는 젊은층의 취향을 반영한다.

텔레시스 파리가 1940년대 크리스찬 디올이 선보였던 우아하고 클래식한 '뉴룩'을 뮤즈로 현대적 감각을 통해 선보였다면 시스 라인은 클래식함은 가져가면서도 색상이나 디테일에 변화를 주어 스타일리쉬함을 추가했다.
황 대표는 "텔레시스 파리는 광주 패션 디자이너 최초로 온라인 쇼핑 공간을 확대해 다양한 제품을 통해 소통하고 가능성을 더욱 확장하고자 한다"며 "매장을 방문하는 것이 부담스러웠던 지역 고객들도 우리 옷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고정된 트렌드에서 벗어나 로맨틱한 감성을 기반으로 한 감각적이고 독보적인 디자인의 텔레시스와 시스 라인을 만나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텔레시스 파리는 ACC호텔 1층에 자리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매장은 물론 온라인 몰 'TELESIS PARIS'를 통해 텔레시스 파리와 시스 라인을 모두 만나볼 수 있다.

한편 텔레시스 파리 대표 황미나 디자이너는 광주 출신으로 전남대 예술대학에서 관현악을 전공하고 졸업 후 프랑스 파리로 건너가 에스모드에서 패션을 공부했다. 어린 시절부터 기성복을 고쳐입으며 나만의 옷으로 만들었던 관심에서 시작된 모험이었다. 졸업 후 능력을 인정받고 클로드 몬타나(Claude Montana)에 들어가 막내 시절부터 디자인에 참여하며 실력을 키워왔다.
이후 뤽 생 알반(Luc Saint Alban)과 발렌시아가(Balenciaga)에서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2002년 꿈에 그리던 개인 브랜드인 텔레시스를 마레지구에 열었다. 브랜드 오픈과 함께 한국인 최초 프랑스 정부 지원으로 파리 프레타 포르테(기성복 박람회)에 7여회 참가하며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 인정 받았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나주 복암리유적서 관청 흔적 발견 '관' 명 백제 인장 기와. 문화재청 제공 나주 복암리유적에서 관청 흔적이 담긴 백제 인장기와와 주거지 흔적이 확인돼 마한에서 백제로 넘어가는 시점에서도 나주 복암리가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음이 다시 한 번 입증됐다.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가 30일 오후 1시 나주 복암리유적 발굴현장을 공개한다.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4월부터 이곳에서 추진 중인 발굴조사를 통해 마한의 도랑(환호)시설을 확인한 데 이어 최근 백제 주거지 2기와 백제 인장기와 등을 추가로 확인했다.현재까지의 조사에 따르면 나주 복암리유적은 기원전 2세기부터 마한의 초기 생활유적을 확인할 수 있는 도랑시설과 백제 목간 등이 확인 된 바 있고 인근에는 사적인 나주 복암리 고분군과 금동신발이 출토된 정촌 고분 등 거대 고분이 위치해 마한의 중심지 중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도랑시설은 고대 취락과 같이 중요 건축물이나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추측되며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이번 조사를 통해 도랑 내부공간의 건축물 등 시설물을 확인하고자 했으나 경작 등으로 사라져 시설은 따로 확인하지 못했다. 다만 조사지역에서 백제 주거지와 인장기와가 확인돼 마한에서 백제로 넘어가는 시점에서도 여전히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음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회진현관초' 명 고려시대 기와. 문화재청 제공특히 인장기와는 백제 고도인 공주, 부여지역 외에도 지방에서는 고부(정읍)와 같은 오방성(五方城) 지역이나 여수, 순천 등의 신라 접경지역에서 확인된 바 있으나 마한 중심지역에서는 이번에 처음 확인돼 의미가 크다.이전 조사에서는 이 지역에서 처음으로 백제의 지방행정체계와 고위관직명을 알 수 있는 목간이 발견됐으며 관아에서 사용됐음을 알 수 있는 '官內用(관내용)'과 백제의 옛 지명인 두힐현의 존재를 알 수 있는 '豆肹舍(두힐사)'가 새겨진 백제 명문토기 등이 출토된 바 있다.이번에 새롭게 확인된 백제 기와에는 '官(관)'이 새겨진 인장이 선명하게 찍혀 있다. 더불어 복암리 일대 고려시대 행정지명인 회진현의 관아에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는 '會津縣官草(회진현관초)'명이 새겨진 명문기와도 확인됨에 따라 마한에 이어 백제, 고려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동안 나주 복암리유적 일대에 관청 등 중요 시설이 자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나주 복암리유적에 대한 더 자세한 발굴성과는 30일 오후 1시 유적에서 진행되는 현장설명회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누구나 별도의 신청 없이 참여할 수 있다.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최근 부각되고 있는 마한·백제사 연구와 관련해 이번 조사에 이어 조사·연구 성과를 고도화해 향후 사적 주변지역에 대한 보존관리를 위해 중장기 조사를 계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김혜진기자 hj@mdilbo.com
- · 시민과 함께한 특별체험 'Cube Inside' 성료
- · 영화로 보는 호크니의 삶
- · 비건부각, 비파육포, 유자식혜···한식디저트 상품 전시 공유
- · "영상으로 중학생만의 감성을 표현해요"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