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기독병원은 최근 카카오 알림톡 서비스를 2차 오픈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4월 1차 오픈 보다 한단계 더 진화한 2차에서는 ▲모바일 결제 ▲하이패스 수납 ▲제증명 발급 ▲진료대기 순번안내 ▲가셔야 할 곳 안내 ▲입원 배정 ▲모바일 전자처방전 ▲수술진행상황 안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병원 이용 안내를 환자들에게 효율적으로 전달돼 업무 프로세스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제공되는 제증명 발급 서비스는 광주 전남에서 처음으로 제공된다.
이 서비스는 기존 제증명 발급시 개인정보가 포함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본인이 아니면 발급이 어려워 직접 창구를 방문해야 했지만 보안 발급 시스템을 구축해 카카오톡 알림톡을 이용한 휴대폰 본인인증을 통해 개인정보를 확인하고 쉽고 빠르게 제증명 발급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병원 이용자들에게 편리한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여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편의성 제고와 병원 업무 효율성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또 제증명서 신청 및 발급 서비스 외에도 모바일 QR 처방전을 추가 오픈한다. 모바일 QR 처방전은 생성된 처방전에 공인전자서명을 첨부하고 바코드로 인코딩하여 환자의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전송된다.
환자는 약국에 방문하여 QR코드를 보여주고 약사는 별도의 시스템이나 기기 설치 없이 바코드 스캔만으로 처방전을 추출해 전자서명 검증 후 공인전자문서센터로 보관하게 된다. 모바일 QR 처방전을 이용함으로써 문서 위변조를 차단할 수 있고 처방전 보관문제도 개선할 수 있다.
최용수 광주기독병원장은 "고객과 소통하는 스마트병원으로 나아가기 위한 첫걸음으로 알림톡서비스를 시작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고객만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미래를 선도하는 광주지역 책임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광주 환자 34% '원정 진료'···전남 '의료 인프라 취약' 원인 지난해 광주에서 진료받은 건강보험 가입자 10명 중 3명 이상이 다른 지역 거주 환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인근 지역인 전남도민들이 의료인프라가 좋지않은 거주지를 벗어나 광주로 원정 진료를 오는 것으로 풀이된다.30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2 지역별 의료이용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진료 실인원은 5천61만명(의료급여 포함)이다.광주에서 진료를 받은 타지역 출신 환자 비율은 34.2%로 전국에서 4번째로 많았다. 207만2천487명 중 70만9천756명이 다른 지역 출신이었다.전국적으로 봤을 때 다른 지역에서 유입된 진료 실인원 비율은 서울이 41.7%로 가장 많았으며 세종(37.0%), 대전(35.3%)이 뒤를 이었다.작년 요양기관은 총 10만396곳(약국 포함)으로 집계됐고, 의사(양·한방)는 16만3천115명, 간호사는 25만4천227명이었다.작년 건강보험 적용 인구와 의료급여 수급권자를 더한 의료보장 인구 10만명당 시도별 의사 수는 서울 466명, 광주 376명, 대전 367명 순으로 많았다.10만명당 간호사 수는 광주 681명, 대구 644명, 서울 633명 등의 순이었다.지난해 전국 평균 1인당 월평균 진료비는 19만1천320원이었다.시도별로는 전남이 24만4천845원으로 가장 많았고, 세종이 15만2천533원으로 가장 적었다.이처럼 광주지역에서 진료를 받는 타지역 출신 환자가 많은 것은 인근 지역인 전남의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남도민들의 진료비 지출은 전국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는 전남의 극심한 고령화 탓으로 보인다.실제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1년 전보다 5.21% 늘어난 938만명이었다.시도별로 보면 전남(24.8%), 경북(23.4%), 전북(22.9%) 순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중이 컸다.이에 전남지역민들은 1인당 가장 많은 진료비를 지출하면서도 의료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한 탓에 거주지역에서 진료를 받지 못하고 타지역으로 이동하는 사례가 많아 국립의대 신설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전남지역 여·야 4당은 지난 28일 전남 의대 신설을 위합 합동 기자회견을 갖고 공동협약서에 서명한 뒤 정부에 지역의대 신설 확정과 정원 배정을 요구했다.여·야 4당 도당위원장들은 건의문을 통해 "의료기본권은 지역, 나이, 경제적 사정 등과 상관없이 헌법이 보장하는 권리다"며 "전국에서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는 전남도민은 그간 기본적인 권리도 제대로 보장받지 못했다"고 밝혔다.이어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의료취약지의 문제를 하루빨리 해결하기 위해 지역의대 신설을 막연히 지속적 검토로만 방치해서는 안된다"며 "전남에 국립의대가 반드시 설립되어야 한다는 선명한 명제 앞에 여·야가 따로 일 수 없다"고 말했다.한편, 이 통계연보는 이날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으며,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시스템에도 등록될 예정이다. 이정민기자 ljm7da@mdilbo.com
- · 전남대병원, 차기 병원장 후보 1·2순위 선정···4명 지원
- · 김선옥 전남대병원 교수, 올해의 여성비뇨의학자상 수상
- · 광주기독병원, 결핵 적정성 평가 1등급
- · 조선대병원, '병원형Wee센터' 운영기관 선정···내년 3월 개소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