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투명·신속…10월 중순 정도 마무리"

강기정 광주시장이 광주신세계백화점 신축·이전과 관련해 25일 인허가 절차와 상생 협의를 동시에 진행하는 개문발차(開門發車)로 신속성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선(先) 상생 협의·후(後) 인허가 절차 진행으로 수차례 사업이 무산됐던 경험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날 출입기자들과의 차담회에서 "3자 협의체를 통한 상생 협의를 진행하면서 다음 달 중순 정도까지 도시계획·건축 공동위원회를 열어 지구단위계획 변경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3자협의체는 광주시와 광주신세계, 금호월드 관리단이다. 시 소유 도로의 사업지 편입을 완강하게 반대하던 금호월드 관리단 측은 최근 '무조건 반대' 대신 광주시가 중재하는 3자협의체에서 상생안을 논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강 시장은 "과거에는 상생 협의가 완료돼야만 인허가가 진행됐는데, 상생 논의가 종료되지 않아서 인허가 절차가 한발짝도 못 나간 경험이 있다"며 "다행히 3자 모두 상생 협의에 흔쾌히 동의하고 있어 인허가의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강 시장은 "광주시는 도시개발 사업에 대해 공정성, 투명성, 신속성의 3대 원칙을 제시한 바 있고, 신세계 백화점 확장 이전 문제도 이 원칙에 따를 것"이라며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음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도로 편입 등을 둘러싸고 개발 속도가 다소 주춤해진 데 따른 시민들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광주신세계는 지난해 11월 현 백화점 옆 이마트 부지, 옛 모델하우스 부지를 합쳐 '신세계 아트 앤 컬처 파크'를 건립하기로 하고 도시관리 계획 입안을 신청했다. 광주시 도시계획위원회는 기존 백화점의 구체적인 활용방안 제시, 지하차도 기부채납, 인근 금호월드 포함 주변 민원 적극 해소 등을 조건부로 입안을 결정했다. 광주시는 관계기관 협의와 사업자 측의 조치 계획을 반영해 심의안을 만들어 도시·건축 공동위원회 심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복합쇼핑몰 공공성 가닥, 강 시장 '추진력' 발휘될까 어등산관광단지 내 조성 예정인 '그랜드 스타필드' 조감도. 무등일보DB옛 전남·일신방직(옛 전일방) 개발을 위한 사전협상이 마침표를 목전에 두면서 민선8기 광주시 핵심 공약인 대형복합쇼핑몰 사업들이 모두 본 궤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이에 따라 복합쇼핑몰 입점에 필요한 법적요건, 행정·기술적 사항을 원스톱으로 검토하고 신속히 추진하는 역할을 맡은 '복합쇼핑몰 신활력행정협의체'가 본격 가동된다.다만, 광주시가 빠른 추진을 약속한 것과 달리 시민들이 느끼는 속도는 더디다는 지적이 있는 만큼 광주시가 '눈치 보기'를 끝내고 실무작업에서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강기정 광주시장이 그동안 최대한 공공성을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어느 정도 성과를 낸 만큼, '신속성'에 주력하겠다고 밝혀 복합쇼핑몰 사업들이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더현대 광주 조감도. 무등일보DB◆'복합쇼핑몰 3인방' 본궤도 안착11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현재 광주에서 추진 중인 복합쇼핑몰 사업지(신세계백화점 확장 포함)는 총 3곳으로, 최근 옛 전일방 도시계획 변경에 따른 공공기여비율이 확정되면서 모두 본 궤도에 오르게 됐다.'더현대 광주' 입점이 기대되는 옛 전일방 부지는 지난달 29일 '도시계획 변경 사전협상 협상조정협의회 제11차 회의'에서 공공기여비율이 54.45%(총 5천899억원)로 결정됐다.오는 15일 도시계획·건축 공동위원회 자문을 통과하면 기나긴 사전협상이 끝나게 된다.민선8기는 당초 올해 8~9월께 사전협상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계획했지만, 토지감정평가액을 두고 사업자가 반발하면서 3달여 늦어지게 됐다. 광주시는 사전협상이 늦어진 만큼, 인허가에서는 속도를 내 내년 6월께 지구단위계획 지정·고시 절차를 마칠 계획이다.사업자 측도 도시계획·건축 공동위원회 자문을 통해 사전협상이 끝나면 현대백화점그룹과 토지매매 계약을 체결하겠다고 밝힌 만큼, 이르면 내년 하반기 '더현대 광주' 건립을 위한 삽을 뜰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광주신세계백화점도 최근 이마트 부지와 야외 주차장 부지를 합쳐 신축·이전하려던 계획을 철회하고, 현 백화점과 광주종합버스터미널 내 유스퀘어 부지에 신축·확장하기로 결정했다.특히 이용인구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버스터미널을 쇼핑과 문화, 예술을 복합한 랜드마크형 백화점으로 건립하기로 하면서 이전 계획보다 추진에 탄력을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지난 10월 31일 오랜 숙원인 어등산관광단지 개발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신세계프라퍼티가 선정돼 광주시와 60일간의 협상에 돌입했다. 광주시는 2025년 말 착공을 위해 계획대로 올해 내 협상을 마무리하고 사업협약 체결과 민간개발자 선정 등 사전절차를 마무리할 방침이다.광주신세계 터미널부지 개발 투시도. 무등일보DB◆시민들은 '복합쇼핑몰 언제쯤'…광주시는 정상적인 절차와 원칙에 따라 진행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민들의 마음은 좀처럼 편치 못하다. 과거 수차례 무산된 경험이 시민들의 불안감을 자극하고 있기 때문이다.민선8기 '강기정호'는 출범 직후 장점인 '추진력'을 내세워 초기 복합쇼핑몰 입점을 위한 윤곽을 잡아갔다. 하지만 옛 전일방 부지 개발을 위한 사전협상이 토지감정평가 갈등 등으로 지연되고, 광주신세계백화점 신축·이전 사업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에서 막히면서 예상보다 늘어졌다.광주시민들의 복합쇼핑몰 유치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크다.광주시가 최근 시민정책참여단(2천858명)을 대상으로 복합쇼핑몰 유치에 관한 의견 수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10명 중 7명이 광주에 없는 쇼핑시설과 브랜드를 체험·구매하기 위해 타 지역 복합쇼핑몰을 찾았다고 밝혔다. 또 광주에 복합쇼핑몰 유치가 필요한지를 묻는 물음에 10명 중 9명(90.7%)가 필요하다고 답했다.그동안 광주시는 자칫 특혜 소지가 발생하면 사업 추진에 족쇄로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에 '공공성' 확보에 공을 들이면서 당초 목표했던 속도를 내지 못했지만, 이제 사업들 모두 충분한 당위성과 공공성을 확보한 만큼 신활력협의체를 통해 속도를 내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강 시장 또한 옛 전일방 공공기여률이 확정된 지난달 30일 SNS을 통해 "공공성, 투명성, 신속성 3대 원칙 중에 공공성의 큰 산을 넘었으니 이제 인허가 절차를 빠르게 진행시켜 신속성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동남갑' 출마선언 정진욱 "윤석열 검사독재정권 심판"
- · '동남갑' 오경훈 소장, 출판기념회 성황
- · '북구갑' 정준호 변호사, 출판기념회 성료
- · 강기정 광주시장, 세계 100여 도시 시장과 '글로벌 외교'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