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 AI로 인한 직업의 변화와 폴리매스-(30)■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30)"AI로 인해 모든 직업이 사라질 것이다", "25년 안에 인간은 더 이상 일할 필요가 없어질 것이다", "앞으로 10년 안에 AI가 모든 일자리의2023.12.03@ 김경수
-
[칼럼] 다수의 침묵이 파괴하는 포용사회■신경구의 포용도시1933년 나치가 독일의 총리로 임명될 당시, 독일은 세계에서 가장 진보적이라고 자랑한 '바이마르 헌법' 체제를 갖고 있었다.히틀러가 총리로 임명되면서 곧바로 나2023.11.26@ 신경구
-
[칼럼] 챗GPT의 역사와 미래■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29)작년 말, 챗GPT 출시로 일약 세계적 인물이 된 샘알트만이 출시 1주년을 앞두고 지난주에 오픈AI 이사회에서 전격 해고되었다. 불과 열흘 전에 '2023.11.19@ 김경수
-
[칼럼] 최소주의 의료가 만드는 포용도시■신경구의 포용도시2020년 초에 코로나19가 발생하자마자 한국은 높은 발병율로 세계의 주목을 받은 나라였다. 그러나 한국이 코로나를 효과적으로 차단해서 또 다시 세계의 주목을 받2023.11.12@ 신경구
-
[칼럼] 생성형 AI 시대, 왜 질문이 중요한가?■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매년 '트렌드 코리아'를 출간하는 김난도 교수는 2024년 10대 키워드 중 하나로 '호모 프롬프트(Homo Promptus)'를 선정했다. '인간의 질문2023.11.05@ 김경수
-
[칼럼] 생성형 AI의 상식과 문화예술의 미래'생성형 AI'를 사용한다면 누구나 작가 수준의 그림이나 사진을 만들 수 있다. 현재 대표적인 생성형 AI는 미드저니, 달리, 스테이블 디퓨전, 그리고 포토샵 AI 등이 있다.이것2023.10.22@ 김경수
-
[칼럼] 도파민의 쾌락과 기다림에서 찾는 행복'이번 추석에는 어떤 영화를 볼까?'7080 시절에는 '추석특집 영화'를 보기 위해 길거리의 영화 포스터를 찾거나 신문의 TV 일정표에 밑줄을 그으며 상영일시를 기다리는 설렘이 있2023.09.24@ 김경수
-
[공연 리뷰] 오월 정신의 장엄함과 숭고함, 오페라로시립오페라단 창작오페라 '박하사탕'
2023.09.10@ 이미경 -
[칼럼]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 전문가회의에 초청받은 광주2023.09.10@ 신경구
-
[칼럼]딥페이크의 위험성에 대비하는 방법■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딥페이크가 이슈이다. 올해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이 뉴욕 맨해튼에서 수갑을 차고 경찰에 체포되는 사진, 바이든 대통령이 트렌스젠더를 혐오하는 영상 등을 보면2023.09.03@ 김경수
-
[칼럼] 약자도 존중받는 포용사회2023.08.27@ 신경구
-
[칼럼] 세로 미디어 혁신과 미래지향적 미디어리터러시■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2007년 스마트폰이 출시되기 전까지 미디어는 온통 '가로 세상'이었다. 극장과 TV, PC 등 대부분의 스크린과 모니터가 가로 중심이었다. 스마트폰 등장2023.08.20@ 김경수
-
[특별기고] 학살을 기억하라! '옐로우 메모리'전쟁과 경제적 불안으로 얼룩진 하수상한 이 세월을 광주에 있는 시민들은 어떻게 보내고 있는가. 5·18 민주화운동을 경험한 광주 시민들은 필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주제를 너무나 잘2023.08.17@ 임혜지
-
[칼럼] 왜 페이스북에서 인스타그램으로 이주하는가■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에 빠진 페친들이 대거 인스타그램으로 이주하였다. 주변에 '인스타'를 하지 않는 청소년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다.올해 4월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2023.08.06@ 김경수
-
[칼럼] 서로 존중하고 감사하는 포용 사회2023.07.30@ 신경구
-
[칼럼] 과학적 검증과 미래 예측에 대한 성찰■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 최근 후쿠시마 오염수, 기후 변화 등을 두고 '과학적 검증'과 '미래 예측'이 화두이다.미래 예측은 특정 시장의 수요와 기술 발전, 또는 경영 환경 평가2023.07.23@ 김경수
-
[칼럼] 포용사회를 파괴하는 반사회성2023.07.16@ 신경구
-
[칼럼] 가짜뉴스에 대한 성찰■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최근 후쿠시마 오염수, 서울-양평 고속도로 등을 두고 여야 간 가짜뉴스 논쟁이 치열하다. 가짜뉴스(fake news)의 사전적 의미는 언론 보도의 형식을 띠2023.07.09@ 김경수
-
[칼럼] 광주의 인권교류2023.07.02@ 신경구
-
[칼럼] 구글-MS 전쟁과 14년 주기 메가트랜드■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주도권 경쟁이 점입가경이다.작년 11월 30일,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의 경제적 지원을 받은 오픈AI가 챗GPT-3.5를 출2023.06.25@ 김경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