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고] 선거구제, 정말 바꿔야 합니다우리는 보았다. 현실 정치가 나쁜 교육 사례로 학습되고 있는 것을. 대통령선거에서 국회의원선거에서 지자체 선거에서 묻지마 일등만 하면 리더가 된다. 리더에게 리더십이 없어도 된다.2023.06.01@ 문상필
-
[기고] 한국에너지공대 출연금 축소는 '삼척동자도 알만한 어리석은 일'한전이 전기요금을 인상했다. 인상 폭은 논외로 하더라도 한계치에 다다른 한전 적자를 감안하면 어쩔 수 없는 일일 것이다. 그런데 정부가 느닷없이 한전 적자와는 전혀 무관한 한국에너2023.05.25@ 김경만
-
[기고] 소년범의 마음 읽기광주지역 22년 촉법소년은 651명, 범죄소년은 2천220명이며, 그중 절도범죄가 960명으로 전체범죄 유형중 비중이 가장 높다. 이에 광주경찰은 소년 절도범 감소 및 재범 방지2023.05.25@ 김수진
-
[기고] 젊어서 한번 해볼 만한 것, 무전여행1960년 전후 고등학생과 대학생들 사이에 유행했던 것 중 하나가 무전여행이었다. 무전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용기다. 돈 없이 집을 떠나 여행을 하는 것,2023.05.21@ 한정규
-
[기고] 빛고을 50+센터, 빛나는 50+일자리 사업도 한다광주시 장년층 생애 재설계 지원기관인 빛고을50+센터는 올해 준비한 사업들을 알차게 추진, 광주 장년층 시민의 인생 2막이 활기차고 보람 함께 하도록 돕겠다. 센터는 광주시 고령사2023.05.18@ 서은진
-
[기고] '우수저류시설'(빗물저장시설), 주민 생명과 재산 지키는 파수꾼지난 2020년 8월 초, 이틀간 남부지역에 48시간 기준 500년 빈도 이상인 516mm의 폭우가 내려 광주 전역이 물에 잠기는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광주 도심에 물난리라니!2023.05.17@ 배종환
-
[기고] AI 시대 잊혀져가는 뿌리산업 경쟁력 키워야스위스의 시계, 독일의 자동차 등 세계적인 명품은 오랜 기간 축적된 뿌리산업의 탄탄한 기술 기반 위에서 탄생했다. 최근 우리나라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도 뿌리산업의 집합체다.2023.05.16@ 이철
-
[기고] 자원회수시설, 우리 동네를 빛내는 기회의 시설로···한국환경연구원(KEI)이 전국 만 19세이상 70세미만 성인 총 5천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 국민환경의식조사 결과, 우리나라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환경문제를 묻는 질문에2023.05.14@ 송용수
-
[기고] 오월 정신! 국가보훈부 격상으로 더욱 위대하게광주의 오월이 시작됐다. 선조들은 이팝나무가 피는 오월이 되면 잠시나마 허기짐을 달랬다고 한다. 마치 사발에 흰쌀밥을 수북하게 담아놓은 것처럼 하양게 핀 꽃을 보며 마음으로나마 배2023.05.11@ 정홍식
-
[기고] '속도'만 생각하는 아이파크 해체공사 방향 설정 다시해야대한민국의 건축공학과 재난안전을 연구하는 공학자로서 여론의 질타와 뭇매를 각오하고 객관적 시각으로 광주시 화정동 아이파크 해체공사에 대한 소견을 밝힌다.화정동 아이파크는 지하 4층2023.05.10@ 송창영
-
[기고] 광주공항,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 결단 할 때가정의 달과 휴가철이 다가오면서 해외여행을 준비하는 지인들이 부쩍 늘었다. 이들 대부분 '어디서 출발하냐'는 질문에 인천국제공항을 꼽았다.불과 3~4년 전까지만 해도 대부분 무안국2023.05.09@ 문현철
-
[기고] 항공장애표시등 설치만 의무, 지원은 누가 해 주나비행기에 탑승해 밤하늘을 비행하며 발아래 공항 주변 도심지역을 내려다본 적이 있는가.십중팔구 낮의 그것과는 다른, 반짝반짝 빛나는 아름답고 운치 있는 모습에 감탄사를 자아냈을 것이2023.05.07@ 공병철
-
[기고] 사과와 화해는 진실한 고백에 의한 진상규명에서부터 시작돼야5.18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인식한 첫 기억은 무척이나 강렬하게 남아있다. 처음 본 5·18 당시의 자료화면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존재하는 군인들의 행위라고는 볼 수2023.05.03@ 김준
-
[기고] 스마트 미래도시 광양의 랜드마크가 철동상? 지금이 80년대?필자는 지난해 10월 시정질문을 통해 정인화 시장의 초거대 이순신 철동상 건립 공약에 우려를 표한 바 있다. 아울러 광양시의회는 2023년 본예산 심사에서 관련 용역비 3억원을 삭2023.05.02@ 김보라
-
[기고] 광주도시철도와 함께 하는 '대한민국 안전대전환'사고는 예상치 못한 때와 장소에서 일어날 수 있다. 흔히 재난사고가 일어나면 단순히 운이 나빠서 발생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우리가 미리 안전에 대해 충분한 관심을 갖지 않2023.04.30@ 조익문
-
[기고] 농촌 인력수급,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지난해 농식품신유통연구원에서 발표한 '2022년 농식품유통이슈'에서 1위는 단연 '농촌인력 부족 문제'로 농촌은 해를 거듭할수록 노동인력은 줄고 초고령화되며 만성적인 인력난 문제를2023.04.26@ 강정일
-
[기고] 찾아가는 청년정책, 알림 중요성때때로 주변의 지인들이 우리 아들 딸이 지원받을 수 있는 청년 지원 정책이 있느냐 하며 물어올 때가 있다. 나 역시 20대 청년 자녀를 둔 아버지로서 그들의 질문에 공감하며 고민하2023.04.25@ 김동현
-
[기고] 상생은 약속을 지키는 것부터 시작된다오늘은 '우중충한' 날이다. 마음이 무겁고 머리도 아프다. 날씨 탓일까. 햇볕도 나지 않고 안개인지 미세먼지인지 모르겠다. 요즘 거리를 보면 온통 현수막 천국이다. 저마다 무엇을2023.04.23@ 유호규
-
[기고] 3대 사망사고 제로와 더 안전한 광주를 향해!꽃비 내리는 4월이다. 앞다퉈 꽃망울을 터트리는 봄꽃의 향연은 상춘객의 마음을 뒤흔든다. 생동하는 봄의 기운을 유독 좋아하지만 지역 안전에 대한 소임을 맡은 후로는 계절을 온전히2023.04.20@ 신동하
-
[기고] '진인사대천명' 마음으로 전국체전 성공 개최오는 10월과 11월에는 2008년 이후 15년만에 전남에서 '제104회 전국체전'과 '제43회 전국장애인체전'이 열린다.이 기간 코로나 팬데믹 이후 최대규모인 4만여명의 선수단과2023.04.19@ 김기홍